100% 분양 장담 못하면 뒷걸음질… 시공사 못 찾는 건설현장
2024.09.11 18:23
수정 : 2024.09.11 18:23기사원문
민간 건축시장에서 시공사 구하기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올 1~7월 국내 건설사의 민간부문 건축 수주액은 60조원으로 지난 2022년 103조원 대비 41% 감소했다. 올해 민간 토목 수주액은 2022년에 비해 17% 늘었지만 건축은 암흑기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건설 및 개발 업계는 민건 건축 수주 환경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A 대형사 임원은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을 제외하면 민간 건축 수주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며 "건설사들도 어렵다 보니 철저한 리스크 관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B사 대형사 임원도 "일반 아파트, 오피스텔, 물류센터 등은 사업성이 매우 뛰어나지 않는 한 수주 심의를 통과하는 경우가 희박하다"며 "그나마 안전한 택지개발지구 아파트 공사 발주도 크게 줄면서 민간 건축 수주는 개점휴업 상태나 다름없다"고 전했다.
중견 건설사들의 사정은 더 심각하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정비사업에서는 대형사에 밀리고, 민간 건축은 불안해서 못하면서 인력을 유지할 수 있을 지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시공조건도 까다로워지고 있다. 시공사 입장에서는 착공에 들어가면 책임준공을 책임져야 한다. 분양률 저조 등으로 준공 기한을 지키지 못하면 시행사들의 채무를 떠 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C사는 시공 조건으로 초기 분양률이 30%대 중반 등 일정 기준을 넘지 않으면 언제든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단서 조항을 넣고 있다. 기준을 충족해야 책임준공 및 대출 신용보강을 하는 방식이다.
D사는 발주처에 시공 조건으로 공사비 110% 확보를 내걸고 있다. 웬만한 우량 사업장이 아니면 이 기준을 맞추지 못할 경우 수주 심의에 올리지도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행 업계도 긴장상태다. 개발업계 한 관계자는 "어느 시행사가 공사비 100%도 아니고 110%를 확보하고 사업을 진행할 수 있냐"며 "결국 리스크 관리를 위해 수주를 안 하겠다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비 주택의 경우 대출을 받아도 시공사를 못 구해 빈 터로 남아 있는 현장이 수두룩하다"고 덧붙였다.
ljb@fnnews.com 이종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