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의 랜덤워크 속에서도 전진하려면

      2024.09.25 06:00   수정 : 2024.09.25 07:41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최근 금투세·미국 대선·중동 리스크 등 대내외적인 변수가 겹치고, 몰아닥친 ‘R(Recession·경기침체)의 공포’에 글로벌 증시가 일제히 폭격을 맞았다. 패닉셀을 부른 폭락 사태의 불씨가 진화되기도 전에 설상가상으로 증시 대기 자금(투자자 예탁금)은 걷잡을 수 없이 빠져나가 실제로 지난 9일에는 최근 6개월 새 최저점을 찍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렇듯 예측할 수 없는 주식 시장의 변동성이 몰아닥칠 때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것이 ‘랜덤워크(Random Walk)’이론이다.



랜덤워크 이론은 주가는 무작위적인 움직임을 보이기에 미래 주식 시장 예측은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나아가 투자를 대하는 자세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바로 ‘투자란 나만의 원칙을 세워 꾸준히 방법을 연구하는 생활’이라는 점이다. 시장의 잡음 속에서도 잃지 말아야 할 것은 개개인의 리스크 감수 능력, 투자 목표, 투자금 조달 비용 등을 고려한 자신만의 투자 철학으로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많은 전문가들이 주가 변동에 상관없이 꾸준히 수익률이 발생하고 투자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채권을 안전 자산으로 강조한다.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은 채권의 용어가 주식보다 복잡하고 수익률이 낮다는 이유로 채권 투자를 멀리하곤 한다. 그러나 현명한 자산 분배 투자자들은 본인에게 맞는 투자 위험성을 고려해 일찍부터 투자금 일부를 채권에 분산해오고 있다. 금융시장의 랜덤워크 속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진해 나가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지난 10년간 동안 개인투자자들의 장외채권 순매수 규모는 월평균 2600억원에 불과했으나, 2022년 하반기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2년 동안 월평균 3조 3400억원으로 약 13배나 급증했다.

이처럼 개인투자자들의 폭발적인 채권투자 증가세가 나타난 배경으로 채권 거래의 대중화를 꼽을 수 있다. 22년 들어 기준 금리가 점진적으로 오르며 채권 금리가 매력적인 수준에 오르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는 개인의 ‘채권 접근성’이 용이해졌기 때문이다. 증권사 MTS(Mobile Trading system)나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온투업)은 최소 1만원부터 손쉽게 채권 투자가 가능해, 채권은 어렵고 고액 자산가나 전문가들만 투자하는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깨는데 큰 역할을 했다. 필자가 속한 회사의 사례만 보더라도 일반적인 채권 수익률보다 높은(연 7~17%대) 이자 수익을 매달 수취할 수 있는 주택담보채권의 인기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부터 금리인하로의 피벗 가능성이 불거지기 시작하면서 지난해 하반기 대비 올해 상반기의 주택담보채권 총 투자금은 25% 이상 급상향했고, 최근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기준금리 인하를 시사함에 따라 지난 6월 132억을 기록했던 투자 규모는 8월, 170억으로 30% 가량 증가했다. 이는 기준 금리에 영향을 크게 받는 온투금융 상품 특성상 금리 인하가 코 앞이라 여겨지는 현 시점에 고수익(금리) 채권을 매수해 앞으로 1년간 안정적인 이자 수익을 얻으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물론, 현 시점에서 무조건적인 채권 투자가 답은 아니다. 모든 투자가 그러하듯 채권도 원금 일부를 잃을 수 있는 투자이기 때문이다.
다만 한 가지 강조하고 싶은 점은 시장의 불확실성을 받아들이고 한 가지에 매몰되지 않는 자신만의 철학으로 투자 저변을 넓혀가야 한다는 것이다. 대게 주가가 오르면 투자하지 않은 것을 후회하고, 장이 하락하면 투자한 것을 후회한다.
그러나 주식시장, 나아가 금융시장의 변동성은 그 누구도 정확히 예측할 수 없다. 복잡하고 변동적인 금융환경에서 보다 현명하고 계획적인 투자 결정을 내리는데 있어 앞서 언급한 금융시장의 랜덤워크가 제시하는 혜안과 지혜를 잊지 말자.

yesji@fnnews.com 김예지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