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화재 위험↑...위험관리 강화 위해 상벌제 도입 필요"

      2024.09.26 15:33   수정 : 2024.09.26 15:33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인천 청라 아파트 전기차 화재 이후 배터리 위험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상벌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명영 한국화재보험협회 R&D(연구개발)전략팀장은 26일 서울 여의도 보험연구원에서 열린 '배터리 화재위험과 보험의 역할'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최 팀장은 "리튬이온 배터리 활용 시장은 지속 성장이 예상돼 화재 발생 수 증가가 우려된다"며 "전기차 지하주차장 화재나 데이터센터 화재는 에너지저장장치(ESS) 대비 인명피해 가능성이 높고 사회적 파장이 클 것으로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실제 국내 전기차 화재는 올 상반기까지 139건이 발생했으며 이 중 주차 및 충전 중 96건으로 전체의 69%를 차지했다. 10만대당 전기차 화재발생률은 11.5로 내연기관의 15.4 대비 낮은 수준이지만 주차장 화재만 놓고 보면 전기차가 내연기관 대비 1.8배 더 많이 발생한다. 또 데이터센터 화재는 드물지만 막대한 피해를 유발하고 최근 데이터센터 화재는 리튬이온 배터리 사용 증가와 관련된다는 것이 최 팀장의 설명이다.

그는 "주택화재는 화재 건수 대비 사상자 비중은 높고 재산피해는 낮은 편이었지만 전기차 등 배터리 보급 확대로 (앞으로는 주택화재가 피해가 큰) 대형 화재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리튬이온 배터리는 화재진압이 어려워 화재 피해가 크고 화재 원인 규명도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에 최 팀장은 배터리 화재는 대형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위험관리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최 팀장은 "신규 위험은 규제가 사고를 따라가지 못한다.
규제는 보편적으로 적용하는 최소한의 안전 기준"이라며 "위험 관리 우수 사업장 관련 보험 가입 시 인센티브 제공 등을 통한 적극적인 위험 관리를 통한 사고 예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리튬이온 배터리 위험관리 강화를 위해서는 상벌제 도입이 효과적"이라며 "보험사 간 지나친 인수 경쟁 시 리스크에 대한 적정한 가격 산출 역량 및 위험 관리 저하 우려된다.
위험 평가를 통한 위험 인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