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韓日中-아세안 협력 선순환 구조 만들자"
2024.10.10 18:19
수정 : 2024.10.10 18:19기사원문
이는 지난 5월 한일중 정상회의가 4년5개월 만에 재개됐다는 점, 또 이번에 한·아세안이 포괄적전략동반자관계로 격상되면서 한일중 모두가 아세안과 최상위 단계 파트너십을 맺게 된 데 따른 것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열린 아세안+3(한일중) 정상회의에 참석, "올해는 아세안+3 협력의 전환점이 될 중요한 해"라며 "한일중 3국 모두 아세안과 최고 단계 파트너십을 완성했다.
한일중과 아세안의 연계적 관계는 윤석열 정부 들어 크게 개선됐다. 한일 관계 발전을 토대로 한일중 정상회의가 올해 재개되며 한중 관계도 회복세에 접어들었다. 아세안 국가들에 대해선 인프라 개발을 중심으로 공적개발원조(ODA)를 크게 늘리면서 관계를 다졌다.
윤 대통령은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참석 전에도 필리핀과 싱가포르를 각기 국빈방문, 관계 격상에 합의했다. 필리핀에는 20억달러 규모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투입을 약속했고, 싱가포르와는 첨단 제조에 초점을 맞춘 기술협력에 뜻을 모았다.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도 윤 대통령은 양측의 싱크탱크 다이얼로그 출범 합의와 함께 기존 △2020년부터 진행 중인 스마트시티 구축을 지원하는 'K-시티 네트워크 사업' △2028년까지 3000만달러가 투입되는 '한·아세안 디지털 혁신 플래그십' △2026년까지 1900만달러를 들이는 '한·아세안 메탄행동 파트너십' 등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안보협력 강화도 눈에 띈다.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포괄적전략동반자관계 격상을 담은 공동성명에는 남중국해 항행의 자유를 증진키 위해 협력하는 내용이 담겼다. 남중국해에서 중국과 갈등을 빚는 당사자인 필리핀과는 연합훈련 참여 확대 등 안보협력 강화에 합의했다.
윤 대통령은 아세안+3 정상회의에선 미래 분야 협력 강화에 방점을 찍었다. 구체적으로 아세안을 전기차 생산 허브로 구축하기 위한 아세안+3 협력에 적극 기여하겠다는 내용이다. 한일중 3국이 나서서 아세안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공동 연구개발(R&D)에 박차를 가한다는 것이다.
대표적 모범사례가 싱가포르 소재 현대자동차 글로벌혁신센터이다. 인공지능(AI)과 로봇을 동원해 맞춤형 전기차 생산을 하는 방식을 채택, 자동화율이 46%에 달하는 공장이다. 첨단 제조기술과 생산시설이 부족한 싱가포르로서는 의미가 특별한 곳이다.
윤 대통령은 이번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를 계기로 다수의 양자회담도 가졌다. 다자회의 개최지인 라오스 및 베트남, 태국 등 아세안 국가들과 일본, 캐나다, 호주 등 6개국이다.
눈에 띄는 건 우리나라의 3대 수출시장이자 최대 무역흑자 대상국인 베트남이다. 윤 대통령은 팜 민 찐 총리와 양자회담에서 2030년까지 양국 교역액 1500억달러 목표 달성을 위한 교역 활성화 의지를 다졌다. 또 베트남에서 추진하는 고속철도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 등 인프라 개발에 우리 기업들이 대거 참여할 기회를 마련해 달라고 요청했다.
한·태국 정상회담에선 현지 전기차 공장 건설 등 청정에너지 협력 확대를 점검하고, 방위산업 협력도 향후 강화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