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부품 내재화로 계열사 공급망 리스크 줄인다

      2024.10.17 18:35   수정 : 2024.10.17 18:39기사원문
현대차·기아가 부품 계열사들의 연이은 파업으로 인한 생산차질에 대응, 친환경 핵심 부품을 직접 양산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나섰다.

지난 7월 현대모비스 자회사 모트라스, 유니투스 파업으로 수 천대 생산차질을 겪은데 이어 현대트랜시스의 장기파업으로 변속기 공급 중단으로, 현대차 제네시스·코나·포터, 기아 K8·쏘울·셀토스 등을 만드는 생산라인이 멈춰설 판이다. 반복되는 파업 양상에, 현대차·기아의 '내부 공급망 관리'에 적신호가 켜지면서, 부품 공급처 분배 전략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17일 파이낸셜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기아 노사는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과 별도로 지난달 국내 오토랜드(생산공장)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별합의서를 체결한 상태다. 특별합의서의 골자는 전동화 차량 부품을 기아가 직접 생산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특별합의서에는 기아 노사는 전동화 전환과 연계해 중장기적으로 기술개발 능력이 축적되고 사업성 및 생산성, 제조경쟁력 등 제반여건이 충족될 경우 오토랜드 내 조립 생산을 추진한다는 문구가 담겼다. 여차하면, 계열사인 현대모비스 등이 공급하는 전기차 파워 일렉트릭(PE) 모듈, 주요 부품을 완성차가 직접 생산해서 조립할 수 있다는 게 행간의 의미다.

전기차 생산 전환으로 조립 단계가 대폭 축소된데다 생산 자동화 확대로, 생산직 인력들의 고용 안정 문제가 부상한 것이다.
기아 노조는 수년전부터 고용안정을 이유로, 친환경차 부품을 직접 만드는 방안을 회사에 요구해왔는데, 사측 역시 이번에 수용하는 방향으로 합의한 것이다.

현대차그룹은 재고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양을 그때그때 만드는 '적시생산'(Just In Time)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 계열사가 부품을 제때 공급하지 않으면 현대차와 기아 등의 완성차 공장도 피해를 입는 구조다.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라도, 부품 생산 분배 전략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현대차도 비슷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연말 출시를 앞두고 있는 2세대 신형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모델에 장착되는 하이브리드 변속기를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생산하는 방안에 대해 사측에 검토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이브리드 변속기는 현대트랜시스가 공급해 왔는데, 팰리세이드를 계기로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자 자체 생산 필요성을 노조가 먼저 제안한 것이다.

현대트랜시스 파업 여파로 변속기 공급이 차질을 빚으며, 현대차·기아의 생산이 중단될 상황에 내몰리면서, 핵심 부품에 대한 완성차 업계의 내재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형국이다. 더욱이, 부품 계열사 노조들이 강성 지도부로 꾸려지면서, 완성차로 파업 불똥이 계속 튀고 있는 상황이다.

현대트랜시스 노조는 현대차·기아의 90% 수준으로 임금과 성과급을 올려달라며, 지난 8일과 10일 4시간씩 부분 파업을 했고, 11일부터 전면파업으로 전환했다. 이후 몇 차례 쟁의대책위원회 회의를 거쳐 기간을 연장했으며 이날도 쟁대위를 통해 오는 18일과 21일 전면파업을 지속하겠다는 안을 확정했다.
현대트랜시스 노조 관계자는 "조합원들이 납득할 수 있는 제시안이 나오지 않으면 교섭 재개는 없다"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계열사들의 파업이 돌아가면서 지속돼 현대차·기아의 생산라인도 멈출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재계 관계자는 "최근 완성차는 무분규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반면, 부품사 노조들은 완성차만큼 임금을 올려달라며 파업에 적극 나서는 등 새로운 형태의 리스크와 노노갈등이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cjk@fnnews.com 최종근 권준호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