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째 침묵 韓, 대응수위 숙고…친윤 "尹통화, 법위반 아냐"

      2024.11.01 11:50   수정 : 2024.11.01 14:18기사원문
이틀째 침묵 韓, 대응수위 숙고…친윤 "尹통화, 법위반 아냐"
韓, 내주 입장발표 관측…차별화 속 野공세 맞선 진영 지키기 기조
친윤·친한 온도차…"尹, 박절치 못했을 뿐" "국민 감정 고려해야"
토론회 참석한 한동훈 대표 (서울=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31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여론조사 정상화를 위한 제도개선 토론회에참석하고 있다. 2024.10.31 hama@yna.co.kr

(서울=연합뉴스) 최평천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공개한 윤석열 대통령과 명태균 씨의 '김영선 전 의원 공천' 관련 통화 녹음을 놓고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이틀째 침묵하고 있다.

한 대표는 1일 공개 일정을 잡지 않았다.

이와 관련한 입장문이나 페이스북 메시지도 아직 내지 않고 있다.

한 대표는 민주당이 윤 대통령의 육성이 담긴 녹음 파일을 공개한 전날에도 기자들이 이에 대한 입장을 물었으나 답을 하지 않았다.


지난해 말 당에 들어온 한 대표는 윤 대통령과 명 씨가 통화했던 시점(2022년 5월 9일)을 전후해 당내에서 벌어졌던 지방선거·재보궐선거 공천과 관련한 상황을 몰랐을 가능성이 크다.

이 때문에 일단 사실관계를 파악한 뒤 입장을 정리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표와 가까운 한 의원은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당 최고위원회의가 열리는 다음 주 월요일(4일) 메시지를 내놓을 것 같다"고 말했다.

김건희 여사 문제와 관련해 특별감찰관 카드를 밀어붙이면서도 야당의 특검법에는 선을 그어왔던 한 대표 입장에선 윤 대통령 부부를 정조준한 김 전 의원 공천개입 의혹이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다. '김 여사 특검법'에는 공천개입 의혹 등이 수사 대상으로 돼 있다.

윤석열 대통령,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와 악수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를 만나 악수하고 있다. 2024.10.21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hihong@yna.co.kr

한 대표는 기존대로 김 여사 문제 해법을 요구하면서 윤 대통령과 차별화하는 노선을 유지하되, 특검은 물론 임기단축·하야·탄핵까지 거론하는 야권 공세에 맞서 보수 진영을 지켜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에 파장을 일으킨 이번 통화녹음 파일 공개를 놓고 친윤(친윤석열)계와 친한(친한동훈)계 사이에선 온도 차가 감지된다.

친윤계는 윤 대통령이 명 씨와 통화했을 당시가 취임을 하루 앞둔 날이었던 만큼, 공무원이 아닌 신분으로 사적 대화를 나눈 것에 법률적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친윤계로 분류되는 추경호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법률적으로 문제없는 부분"이라며 '당선인 시절 통화로 공직선거법 위반이 아니다'라는 당 소속 법제사법위원들의 법률 검토 결과에 대해 "공감한다"고 밝혔다.

강명구 의원은 SBS 라디오에서 "대통령이 박절하지 못한 분이다 보니 박하게 거절하지 못하는 성격"이라며 "그래서 (명씨가) 막 다그치니까 좋은 의미로 말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의 당선인 시절 비서실 일정총괄팀장이었던 강 의원은 또 "(윤 대통령이) 공천관리위원에게 보고받거나 약속을 잡은 사실이 없다"고 말했다.

당시 공관위원장이었던 윤상현 의원은 윤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 공천과 관련해 보고를 받거나 지시한 적이 없다고 했다.

반면, 친한계는 이번 사안을 법리적으로만 따질 게 아니라면서 국민 정서와 도덕성 측면에서 여론에 추가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에 예의주시하는 모습이다.

한 친한계 의원은 통화에서 "일부가 법리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방어하지만, 국민감정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친한계 의원은 "대통령실에서 대선 후보 경선 이후 윤 대통령이 명 씨와 연락을 끊었다고 했지만, 연락한 사실이 드러났다"면서 "당이 정확한 사실관계도 모르는 상태에서 국민들에게 선제적으로 할 수 있는 말이 없다"고 토로했다.

한 핵심 당직자는 "하루 차이로 법적 문제가 없다는 반박은 유치하다"며 "국민들이 법이 아닌 도덕성의 문제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우려된다.
민심이 어떻게 받아들일지를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p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