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는 것이 전부일 수도
2024.11.03 18:36
수정 : 2024.11.03 18:36기사원문
통상 국정감사 기간에 언론사들의 카메라 렌즈는 대부분 국회에 쏠린다.
국정감사라는 제도도 그렇게 하라고 태어났다. 우리나라 국회 홈페이지만 봐도 알 수 있다. 국회는 국정감사 제도에 대해 '국정에 대한 감시·비판을 통해 잘못된 부분을 적발·시정함으로써 헌법이 국회에 부여한 대표적 기능인 입법기능, 예산심사기능 및 국정통제기능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제도적 의의가 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지난 한 달 가까이 진행된 이번 국정감사에서 이 같은 의의는 카메라에 좀처럼 포착되지 않은 듯하다. 기자가 취재한 법제사법위원회의 국정감사는 더욱 그랬다. 조금 과장하면 카메라 속 의원들 입에는 '이재명과 김건희' 두 이름만 오르내렸다.
법사위가 살펴보는 기관 중에는 국민의 삶과 밀접한 업무를 수행하는 곳이 많다. 법원과 법무부, 검찰 등이 대표적이다. 법원과 검찰의 업무 대부분은 민생과 직결된다. 정치인 관련 사건은 1%에 불과하다는 얘기도 있다. 삶과 밀접한 분야이기에 수사 및 재판 지연, 제한된 정보공개, 피의자·피고인의 인권 문제와 관련된 비판이 고질적으로 나오지만 동시에 엄중하게 다가온다. 법무부 역시 그렇다. 검찰을 관리·감독하는 업무 외에도 난민·비자 업무를 비롯한 출입국 관리업무, 범죄자에 대한 교정업무, 법 개정, 국제분쟁, 변호사제도 업무 등을 수행한다.
지난달 국정감사라는 공론장이 모처럼 마련됐지만 이런 부분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이뤄졌는지에는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크다. 기관 실무자 사이에서도 회의적인 목소리가 나온다. 이 같은 부분에 대해 한 관계자는 "사전에 의원실을 통해 수백 페이지의 서면질의와 답변이 이뤄졌다"면서도 "현장에서는 보는 눈을 의식해 정쟁과 관련된 질문이 주가 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얘기다. 그러나 국민의 눈앞에 보이는 것이 더 중요한 것은 아니었는지 아쉬움은 여전하다. 사전에 국회와 기관들이 주고받은 수백장의 서면을 살펴볼 국민이 얼마나 있을지 싶기도 하다. 누구를 위한 국정감사인가. 그 답은 모두가 알고 있다.
one1@fn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