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출생 정책부터 교통 정책까지 민생정책 잇달아 발표…시민 만족도 대폭 상승
2024.11.10 11:52
수정 : 2024.11.10 12:11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인천=한갑수 기자】 인천시가 출생 정책부터 교통정책까지 시민의 생활과 직결되는 민생정책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주민 만족도도 대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초 인천형 출생 정책 제1호인 1억 플러스 아이(i)드림을 내놓은데 이어 아이(i) 플러스 집드림과 아이플러스(i) 차비드림 등 민생정책을 잇달아 발표했다.
인천에서 태어나는 모든 아이에게 1억원, 플러스 최대 3억4000만원까지 지원하는 인천형 저출생 정책 1호인 1억 플러스 아이(i)드림은 영유아기에 편중된 지원 정책을 18세까지 연장했다.
기존의 부모급여, 아동수당, 보육료, 초·중·고 교육비 등의 지원(7200만원)에 인천시에서 혁신적으로 발굴한 천사지원금(840만원), 아이(i) 꿈 수당(1980만원), 임산부 교통비(50만원) 등 2800만원을 추가해 인천에서 태어난 모든 아이(i)에게 1억원을 지원한다.
천사지원금은 올해 1세가 되는 2023년생부터 대상이며 1세부터 7세가 될 때까지 매년 120만원씩 인천e음(전자화폐)으로 지급한다. 전국 최초 8세 이후 아동에 대한 보편 지원 정책인 아이(i) 꿈 수당은 8세부터 18세까지 대상이며 올해 2016년생인 아동에게 매월 5만원을 지원하는 것으로 시작으로 지원액을 단계적으로 15만원까지 증액해 2024년생이 8세가 되는 2032년부터는 매월 15만원씩 지원할 방침이다.
시는 보편적 지원과 함께 기존 난임부부 지원, 결식아동 급식비, 청년주거안정 지원금 등에 산후조리비 등 맞춤형 사업을 발굴해 개인별 여건에 따라 최대 3억4000만원까지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시는 내년부터 맘편한 산후조리비 지원 사업을 신규 시행해 저소득층, 장애인, 한부모가정 등 취약계층 산모 1600명에게 150만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인천형 저출생 정책 제2호인 아이(i) 플러스 집드림은 주거비를 경감해 집 걱정 없이 아이를 키울 수 있는 정주 환경을 제공하는 신혼부부와 신생아 가구를 지원하는 주거 정책이다.
매입 및 전세 임대 주택을 1일 임대료 1000원(월 3만원)에 공급해 신혼부부의 주거비 부담을 대폭 완화하는 것으로 시는 연간 1000호를 공급해 최초 2년, 최대 6년까지 지원한다.
시는 또 출산 가구의 내집 마련을 돕기 위해 주택 대출이자를 지원한다. 정부가 지원하는 신생아특례디딤돌대출(대출기간에 따라 1.6~3.3%, 최저 1.2%) 등 이미 인하된 금리에 시가 추가로 이자를 지원해 출산 가구의 실이자 부담을 1.0% 수준으로 맞춰 신생아 가정의 내집 마련을 지원한다.
출산가정의 교통비도 지원한다. 인천형 저출생 정책 제3호인 아이(i)플러스 차비드림은 인천 i패스(K-패스 카드)와 연계해 출산가구에 대한 교통비 환급을 최대화하는 사업이다.
현재 일반인에게 월 이용 대중 교통비 20%, 청년(19~39세)에게 30%를 환급하고 있는 인천 i패스에서, 내년에 첫째 아이를 출산하는 가정의 부모에게는 아이가 7세가 될 때까지 각각 50%, 둘째 아이 이상을 낳은 부모에게 각각 70%를 환급한다.
또 시는 인천 지역 도서 방문 시 시내버스 요금과 동일한 요금으로 방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천 보물섬 프로젝트를 시행한다.
인천 보물섬 프로젝트 제1호인 인천 아이(i) 바다패스는 인천시민의 여객선 운임을 시내버스 요금(1500원)과 동일하게 지원하는 것으로 내년 1월부터 시행한다.
시는 타 시도민에게도 정규 운임 요금의 최대 70%까지 지원해 인천 섬 관광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한다.
한편 리얼미터가 지난 8월 전국 17개 광역단체 주민 생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인천시는 지난 7월보다 5.1% 포인트 상승한 66.7%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2위로 지난 7월보다 6단계 상승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사교육 등 양육비 출혈 경쟁, 높은 청년 실업, 아이와 함께하는 안정적인 삶의 터전 부족, 관광발전과 지역사회 부흥 등을 위해서도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시행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apsoo@fnnews.com 한갑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