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는 점포 대신 찾아가는 은행으로… 금융접근성 높인다
2024.12.01 18:05
수정 : 2024.12.01 18:05기사원문
1일 금융업계와 금융당국에 따르면 은행권과 금융당국은 최근 이동점포 개설 목표치를 연간 경영계획에 반영하기로 협의했다.
은행 이동점포란 금융단말기와 자동화기기(ATM)가 탑재된 차량형 점포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해 장소 제약 없이 '찾아가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동점포에서는 신권 교환과 계좌 이체, 입·출금 등의 은행점포에서 제공하는 대부분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은행 이동점포는 현재 명절이나 이벤트성으로 운영하거나 시니어 특화 서비스 제공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신한은행 '뱅버드', 우리은행 '위버스', KB국민은행 'KB 시니어 라운지', 하나은행 '어르신을 위한 움직이는 하나은행' 등이 대표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은행권 공동점포는 특정 장소에서 여러 은행이 공동 운영하지만 이동점포는 특정 시기나 특정 장소에 기간을 정해서 움직이기 때문에 각각 장점이 있다"며 "이동점포가 주기적으로 같은 장소에 같은 요일에 가지 않으면 효과가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운영방안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동점포가 주목받게 된 이유는 그동안 은행권의 대체점포 설치가 활발하지 않아서다. 은행들이 비대면 금융 확산으로 비용절감을 위해 매년 점포 및 자동입출금기(ATM) 폐쇄에 나서면서 고령층 등 취약계층과 비수도권 금융 소비자들의 불편이 커지고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2019년 말 6738개였던 은행점포 수는 2024년 10월 말 기준 5690개로 15.5% 줄었다. ATM도 2019년 말 3만6464개에서 올 10월 말 2만7157개로 25.5%나 사라졌다. 4대 은행이 전체 폐쇄 점포의 69%를 차지했다. 점포폐쇄 비율은 △KB국민은행(-26.3%) △우리은행(-24.0%) △신한은행(-22.9%) △하나은행(-18.8%)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은행들은 창구제휴·소규모 점포, 공동점포·이동점포, STM(Smart Teller Machine·고기능 무인 자동화기기)·디지털점포 등 대체점포를 마련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지난 2019년 말부터 올해 10월 말까지 5년간 사라진 은행점포는 3만6554개, ATM은 18만7051개에 달한다. 반면 이 기간 마련된 대체점포는 362개(창구제휴·소규모 점포 180개, 공동점포·이동점포 24개, STM·디지털점포 158개)에 불과하다. 이 중 공동점포는 지난 2022년 4곳이 문을 연 이후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점포 운영 비용이나 금융사고시 책임소재 문제 등으로 은행 협의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디지털 점포 역시 각 은행들이 시범 사업 형태로 운영하고 있고 실제 이용률도 저조하다.
한편 금융당국과 은행연합회 및 은행권은 '대체수단 활성화 테스크포스(TF)'를 꾸려 이동점포 뿐 아니라 공동점포 등 대체점포 활용을 통한 금융접근성 제고 방안을 신속히 마련할 방침이다. 은행연합회와 은행권도 조만간 은행권 공동점포 설치를 위한 협의절차와 비용 분담원칙 등을 담은 은행권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인공지능(AI) 점포 등 은행권의 점포 운영전략 다변화를 위해 필요한 규제 샌드박스 등 지원에도 나설 방침이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