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키워드' 1000% 폭증… "검열될라" 텔레그램 몰렸다
2024.12.10 18:04
수정 : 2024.12.10 18:04기사원문
비상계엄 사태로 윤석열 대통령과 관련된 키워드가 1000% 폭증하고 민심이 모이는 네이버 뉴스 댓글도 정치 비중이 치솟는 등 온라인 상에서의 후폭풍이 거세다. X(옛 트위터)와 유튜브의 이용 시간이 급증하고, 2차 계엄 등 각종 괴담 돌면서 '디지털 피난'도 현실화됐다. 지금까지 누려온 자유로운 의사 표현, 통신의 자유가 언제든 제한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면서다.
■'비상계엄' 키워드, 온라인 뒤덮었다
10일 지난 일주일 간 네이버 데이터랩의 댓글 통계와 구글 트렌드를 살펴보면, '비상계엄' 키워드가 온라인을 지배했다. 네이버 뉴스 댓글은 비상계엄 당일인 3일 39만개, 계엄이 해제된 4일 92만여개였다. 탄핵 표결이 있었던 7일에는 97만개까지 치솟았다. 네이버 댓글은 평상시 하루 20만~30만개 안팎인걸 고려하면 댓글이 폭주했다는 의미다. 전체 댓글중 정치 비중을 따져보면 이같은 추이는 더욱 명확하다. 평상시 30% 안팎에 머무르던 댓글 비중은 지난 3일엔 55.9%, 4일 72.5%, 탄핵표결 당일인 7일에는 약 80%까지 급증했다.
지난 7일간 구글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키워드의 대다수도 계엄 관련 이슈가 장악했다. 지난 2일부터 9일까지 구글의 국내 검색량이 폭증한 단어는 '계엄령'과 '윤석열'로, 지난 일주일 동안 각각 50만번 이상 검색됐다. 평상시 기준으로 보면 무려 1000% 늘어난 수치다. 이 기간 중 가장 많이 검색이 늘어난 단어 25개 중 15개가 비상계엄과 탄핵 관련 용어였다. '탄핵'은 20만번 이상, '김용현', '한동훈'은 각각 10만여번, '추경호', '김건희'는 각각 5만여번 검색됐다. 탄핵 관련 집회에 '응원봉'을 가지고 나오는 이들이 늘면서 '응원봉' 검색량도 200% 늘어난 점도 눈에 띈다.
검색어 톱 10위 중 8개도 계엄과 이에 따른 후폭풍 관련 단어가 차지했다. 윤석열, 비상계엄, 계엄령, 계엄, 국민의힘, martial law(계엄), 김용현, 환율 등이었다. 네이버 검색에서도 결과는 비슷했다. 지난 4일 기준 '윤석열' 검색량 지수는 2년여 만에 최대치를 찍었다.
■사용자 몰린 X·유튜브…'디지털 망명자' 텔레그램으로 집결
비상계엄 당일 국회의원과 시민들이 국회로 속속 모이는 현장을 그대로 중계한 유튜브와 옛 트위터 X 사용량도 늘었다. X에서는 지난 3일 이후 비상계엄 관련된 키워드들이 실시간 트렌드를 점령하고 있다. 4일에는 비상계엄과 관련한 게시글이 100만개 이상이 올라오기도 했다.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X의 1인당 사용량은 3일 61.9분, 4일 66.1분, 7일 75.42분으로 급증했다. 평소의 사용량 50분대 보다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총 사용시간도 3일 365만5000 시간, 4일 419만 시간, 7일 477만 시간으로 평소 330만 시간 대비 크게 늘었다.
유튜브도 지난 5일 국내 이용자의 1인당 평균 사용 시간은 133분 17초로, 지난 3일 125분38초보다 약 8분(6.1%) 정도가 증가했다. X와 유튜브의 사용자 급증은 계엄령 이후 정치권의 실시간 소식을 공유하고, 이에 대한 해석을 듣고자 하는 이들이 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예상치 못한 비상계엄에 크게 놀란 이들이 '디지털 망명'에도 속속 합류했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통신 검열 등 최악의 사태를 대비해야 한다는 각종 괴담이 불안감을 키우면서다. 가장 큰 수혜자는 텔레그램이다. 해외에 서버를 두고 있는 텔레그램은 상대적으로 보안성 등에서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치권과 관가 핵심에서 애용하는 메신저로도 유명하다.
모바일인덱스 분석을 보면, 3일 텔레그램의 신규 설치 건수는 4만576건으로 메신저 업종 당일 전체 신규 설치의 절반(47.09%)을 차지했다. 전날 신규 설치 건수(9016건)에서 4배가 넘는 증가다. 텔레그램 신규 설치는 4일 3만3033건에 달했고, 5일과 6일에도 각각 1만건 넘는 신규 설치를 이어가며 메신저 분야 1위를 차지했다. 계엄 직후 앱스토어 등 인기 차트에서 텔레그램은 50위권에서 3위까지 치솟았다.
yjjoe@fnnews.com 조윤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