짬뽕 좋아하는데 짜장면… "뇌는 지름길을 택했다"
2025.01.09 10:14
수정 : 2025.01.09 10:19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처음 찾은 중국집에서 손님들이 죄다 짜장면을 먹고 있다면 짬뽕을 좋아해도 짜장면이 먹고 싶어지는 이유는 뭘까.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정동일 바이오메디컬공학 교수팀이 미국 버지니아공대 연구진과 함께 이 같은 궁금증을 풀이했다. 중국집 정보가 없다는 불확실성 상황을 마주할 경우 사람들은 타인의 선택을 따라간다는 게 핵심이다.
UNIST는 정 교수팀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무조건 남들을 따라 하는 결정이 뇌에서 나타나는 대체 전략이라는 사실을 계산신경과학적으로 입증해 그 결과를 내놨다고 9일 밝혔다.
사회적 맥락에서 의사결정은 '개인의 선호'와 '타인의 선택'을 통합한 가치판단 과정을 거쳐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뇌가 개인의 선호 정보에 접근할 수 없을 때, 어떠한 전략을 취하는지 밝히기 위해 이번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 뇌는 타인의 선택이라는 사회적 정보를 '휴리스틱 전략'을 통해 개인 의사결정에 반영했다.
휴리스틱은 시간이나 정보가 불충분해 합리적 판단을 할 수 없거나 굳이 합리적 판단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사용하는 추론 방식이다.
개인 선호를 반영한 가치판단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남의 선택을 모방하는 지름길을 택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뇌의 섬피질 혹은 배측 전측대상피질(dACC)에 부분 손상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험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섬피질이나 배측 전측대상피질은 불확실성 정보를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험 참가자들은 두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게임을 반복해서 가졌다. 옵션을 선택할 때마다 정해진 확률로 보상이 주어지는데 하나는 보상 범위가 넓은 위험한 옵션, 다른 하나는 보상 범위가 좁은 안전한 옵션이었다.
다만 옵션을 선택할 때 일부는 다른 참가자들의 선택을 확인한 후 결정하게 했고 나머지는 타인의 선택을 보지 않고 스스로 결정하도록 했다.
실험 결과 뇌 손상이 있는 참가자들은 예상대로 위험 선호도에 따른 가치 평가를 할 수 없었다. 타인의 선택을 본 이후 결정을 내리는 사회적 상황에서 타인의 선택을 따르는 동조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개인의 선호가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에게 이번 연구 결과가 적용될 수 있다고 봤다. 불확실성 상황이나 개인의 선호도가 뚜렷하지 않은 경우 모두 개인 선호에 기반한 가치판단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정동일 교수는 “개인 선호도가 뚜렷하지 않은 사람들이 때때로 주위 사람들 의견에 더 민감하게 휘둘리는 이유를 설명한 연구”라며 “중독과 같은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더 나은 환경을 조성하는 데서 나아가 개인의 선호를 확립하는 교육적 접근도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계산분석 생물학지인 플로스 계산생물학(PLoS Computational Biology)에 지난달 2일 자로 공개됐다.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