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김성권 한국산업기술대 교수
2009.08.17 18:11
수정 : 2009.08.17 18:11기사원문
“로봇을 개발하더라도 단순히 전시하는 건 아무 의미도 없어요. 로봇을 생산해서 몇 대를 팔았고 몇 명을 고용했느냐 등 산업적인 관점에서 봐야 합니다. 지금까지 정부가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했는데 그 결과가 산업에 얼마나 기여했는지 평가를 제대로 하지 못했습니다. 평가가 안 됐기 때문에 책임도 물을 수 없는 거죠.”
김성권 한국산업기술대 교수(60·사진)의 충고다. 김 교수는 지난 90년대 초 삼성전자의 가전, 반도체생산로봇 등을 국산화해 수출하는 등 우리나라 로봇 국산화에 앞장선 인물. 그는 “과거 실패했던 로봇정책을 더 이상 반복해선 안된다”며 답답한 마음을 쏟아냈다.
“연구계와 학계에서 그동안 많은 R&D 자금을 받아 로봇 원천기술을 개발해왔지요. 그렇다면 결과물인 핵심 부품이나 소프트웨어(SW)가 있어야 하는데 성적이 좋지 않아요. 학계, 연구소는 돈을 버는 곳이 아닙니다. 그래서 기업들이 장기적으로 개발하기 힘든 부품이나 SW 같은 원천기술 개발에 전념해야 합니다.”
정부는 지난 5년여간 2000억원 정도를 로봇 R&D에 지원했고 이 중 60% 이상을 연구계, 학계에서 써 온 문제점을 지적한 것. R&D 자금 지원은 기업이 중심이 되면서 기업이 연구소에 투자하고 여기에 정부가 자금을 더하는 매칭펀드 방식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업에서 사업성이 없어 투자하지 않는 분야의 기술개발은 국가에서 연구소나 대학에 연구를 맡겨야죠. 무엇보다 정부는 사업성공 가능성이 있는 중소기업에 꾸준하게 자금을 지원해 줘야 합니다. 효과적으로 운영하려면 R&D 과제비를 주고 총괄하고 책임지는 주체가 필요해요. 또 한 과제에 너무 많은 연구자가 참여하면 책임감이 없어 안됩니다. 무엇보다 장관이든 국장이든 정책 당국자가 분명한 정책의지를 갖고 있어야 하겠죠.”
그는 자금 분배 방식의 문제점도 지적했다. “정부도 R&D 자금을 조금씩 나눠줘서 연구소나 기업들이 연명하도록 만들어선 안됩니다. 될 만한 로봇업체들에 집중적으로 지원을 해야죠. 세계시장에서 1등하는 부품업체를 육성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로봇산업계에 새로운 인력수혈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연구소나 학계에서 로봇쪽에서 조금 일하고 나면 나가서는 자기들이 다 ‘프로’이고 ‘박사’라고 합니다. 진짜 ‘프로’는 로봇을 개발해 제품으로 만들어 국내외에 내다팔아 보고 사후서비스(AS)도 해 본 경험이 있는 전문가일 겁니다. 우리는 그런 사람들을 활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다른 산업계에서 이 같은 경영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로봇업계에서 활용해야 합니다.”
/skjung@fnnews.com 정상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