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합동분향소 운영 지자체들 ‘딜레마’
2014.06.26 17:11
수정 : 2014.06.26 17:11기사원문
사고가 발생한 지 두 달 이상이 지나면서 조문객의 발길이 거의 끊겨 운영 자체의 필요성이 크게 줄어든 데다 공무원 배치 및 운영 등에 따른 업무 및 예산부담이 적지않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아직까지 실종자를 모두 찾지 못한 상황에서 무작정 운영을 중단하는 것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합동분향소를 권역단위 등으로 통합해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분향소 156곳서 25곳으로 줄어
26일 정부 장례지원단과 경기도합동대책본부 등에 따르면 조문객 발길 감소 등으로 세월호 사고 직후 156곳에 달하던 전국의 합동분향소는 현재 25개로 줄었다. 이마저도 대부분 광역단체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일선 시·군에서 운영하는 합동분향소는 운영이 사실상 종료됐다.
현재 전국에 운영 중인 25개 분향소 가운데 안산에 마련된 정부합동분향소와 17개 광역자치단체 분향소를 제외하면 기초단체에서는 경기 수원·성남, 전남 진도 등 3곳만 운영되고 있다. 경기지역은 세월호 사고 직후 31개 시·군에 34개의 합동분향소를 운영해 오다 지난달부터 문을 닫기 시작해 현재 2곳만 남아 있다. 양평군이 지난달 2일 운영을 중단한 것을 시작으로 5월에만 26개의 합동분향소 운영을 종료했다.
합동분향소를 찾는 조문객들이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는 데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합동분향소 역시 찾는 조문객이 하루 수십명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경기도청에 마련된 합동분향소에는 지난 25일 하루 동안 3명이, 성남시 야탑역 광장에 설치된 분향소에는 40명이 다녀갔지만 수원시 연화장에 설치한 합동분향소에는 한명의 조문객도 찾지 않았다. 하루 수천명의 발길이 이어지던 안산 합동분향소에도 25일 238명이 찾았다.
■"정부측 명확한 기준·지침 필요"
조문객이 줄어들자 지자체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광역자치단체의 경우 당초 합동분향소 운영기간을 희생자들의 합동영결식이 치러지는 시기까지로 정했다. 하지만 실종자 수색 작업이 장기화되면서 언제 마무리될지 예상할 수 없는 상황이다. 다만 자율적으로 운영하도록 한 기초자치단체들만 합동분향소 운영을 종료하고 있다.
인력 파견에 따른 효율성도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서울시 직원과 자원봉사자 등 하루 74명이 분향소 운영에 투입되고, 경기도에서도 2명의 직원이 조문객 없는 분향소를 지키고 있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국민 정서상 분향소 운영 종료가 자칫 세월호 참사를 잊어가는 과정으로 비칠 수 있다는 데 있다. 지자체들은 특히 분향소 운영 종료가 세월호 참사로 인한 희생자와 유가족들에게 또 하나의 상처가 될 것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일부 지자체는 "정부가 분향소 운영과 유지를 두고 명확한 지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정부장례지원단 관계자는 "합동분향소 운영을 두고 해당 지자체에서 많은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현실에 맞게 자율적으로 결정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jjang@fn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