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악화로 자영업자 수 줄었는데, 청년 자영업자는 되려 증가.. '취포자'도 급증

      2018.11.07 14:05   수정 : 2018.11.07 14:05기사원문


경기 악화로 인해 자영업자들의 폐업이 속출하면서 전체 자영업자 수가 감소세로 돌아섰다. 반면 15~29세 청년 자영업자 수는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취업난으로 인해 창업으로 눈을 돌리는 청년층이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청년층에서 취업을 포기한 인구도 속출했다.

■경기 악화로 자영업자 폐업 '속출'
7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비임금근로 및 비경제활동인구 부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비임금 근로자는 686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0.5%(3만6000명)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는 자영업자, 가족의 사업체·농장 경영을 무보수로 돕는 '무급가족 종사자'를 말한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65만1000명으로 4.5% 증가한 반면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403만명으로 3.0% 줄었다. 무급가족 종사자는 118만1000명으로 1.4%늘었다.

통계청은 경기가 나빠지면서 소비심리가 위축됐고, 결국 자영업자 폐업이 늘어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1년전과 비교한 산업별 비임금 근로자는 농림어업이 7만6000명(5.9%)으로 증가폭이 가장 컸다. 지난 2013년 통계 작성이후 가장 큰폭의 증가세다. 은퇴 후 농림어업 분야 종사하려는 이들이 늘어난 영향이 컸다.

이어 숙박 및 음식점업 7000명(0.8%), 전기·운수·통신·금융업 1000명(0.1%) 증가했다. 반면 도매 및 소매업은 5만3000명(-3.6%), 광·제조업 2만8000명(-5.3%) 감소했다.

무급가족 종사자는 농림어업 44만명(37.3%), 도매 및 소매업 27만명(22.8%), 숙박 및 음식점업 22만3000명(18.9%) 순으로 많았다. 특히 비임금 근로자는 15~29세 청년층에서 2만명(9.3%) 증가했다. 이는 사상 최악의 고용 재난이 이어지면서 청년 창업이 잇따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60세 이상도 10만8000명(5.5%) 증가했다.

평균 운영(소속)기간의 경우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0만5개월로 2개월,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14년9개월로 6개월 증가했다. 무급가족 종사자는 17년3개월로 7개월 늘었다.

비임금 근로자 중 최근 1년 이내 사업을 시작한 자영업자의 사업 시작 동기는 자신만의 사업을 직접 경영하고 싶어서가 70.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임금근로자로 취업이 어려워서(15.8%), 기타(13.5%) 등이다.

사업 준비 기간은 1년 미만이 87.3%, 1년 이상이 12.7%다. 이중 1~3개월 미만이 49.8%로 가장 많고, 3~6개월 미만(24.6%), 6개월~1년 미만(12.9%) 등의 순이다.

■취업 아예 포기한 청년층 '급증'
취업 활동을 아예 포기한 비경제활동 인구도 급증했다. 지난 8월 기준 비경제활동인구는 1617만2000명으로 2016년 대비 21만명(1.3%)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만 15세가 넘은 인구 중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상태로, 일할 수 있는 능력은 있지만 일할 의사가 없거나 노동공급에 기여하지 못하는 사람을 말한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청년층에서 두드러졌다. 15~29세가 전체의 29.6%를 차지했다. 15~19세가 15.5%, 한창 일할 나이인 20~29세도 14.1%를 기록했다. 60세 이상도 38.5%였다.

2016년과 비교해보면 60세 이상이 56만6000명(10.0%) 증가했다. 20대도 4만6000명(2.1%) 늘었다. 나머지 연령계층에서는 모두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다는 인구는 2016년 대비 31만2000명 증가했는데 60세 이상이 41.3%로 가장 많았다. 20대도 15.7%를 차지했다.
쉬었다는 주된 이유로는 몸이 좋지 않아서가 44.8%를 차지했고,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가 16.9%, 퇴사(정년퇴직) 후 계속 쉬고 있음 16.5% 등의 순이다.

향후 1년이내 취업·창업 의사가 있는 비경제활동인구는 270만6000명(16.7%)으로 2016년 대비 1.1%포인트 증가했다.
20대가 38.0%로 가장 많고, 30대 29.7%, 40대 22.9% 등이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