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2달 연속↑고용 지표 일부 개선.. 제조업, 30·40대 부진 여전, 체감도 낮아

      2019.04.10 10:17   수정 : 2019.04.10 10:18기사원문


지난달 취업자가 25만명 늘며, 2달 연속 20만명대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기저효과와 맞물려 정부의 일자리 사업 조기 집행 등의 요인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다만, 반도체 수출 악화 등의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는 12개월 연속 감소하며 부진한 모습이다.

30·40대 고용난도 심화되고,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의 부진도 여전하다. 일부 고용 지표 개선에도 불구, 경제를 이끌고 있는 핵심 산업과 경제 허리 계층의 체감도는 여전히 낮다는 지적이다.


■제조업, 30·40대 등 고용 부진 여전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680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25만명(0.9%) 증가했다. 지난 2월(26만5000명)에 이어 두 달 연속 취업자 증가폭이 20만명대를 기록했다.

산업별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7만 2000명, 8.6%)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이는 정부의 재정 일자리 사업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8만3000명, 7.7%), 농림·어업(7만9000명, 6.6%) 등에서 증가했다.

반면 제조업의 취업난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는 10만8000명(-2.4%) 감소했다. 지난해 4월부터 12개월 연속 감소했다. 반도체 수출 부진의 영향이 큰 것으로 통계청은 해석했다.

또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및임대서비스업(-4만2000명, -3.1%), 금융 및 보험업(-3만7000명, -4.5%) 등에서 줄었다.

경제 허리 계층인 30·40대의 고용 부진도 여전하다. 30대는 8만2000명 줄었고, 40대는 16만8000명 감소했다. 특히 40대 고용률은 2018년 2월부터 14개월 연속 하락세다.

2008년 12월∼2010년 2월 15개월 연속 하락 이후 최장 기간이다. 제조업과 숙박 및 음식점업의 임시직에서 나타난 부진의 영향의 크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반면 60세이상(34만6천명), 50대(11만1천명), 20대(5만2천명)에서 증가했다.

■고용율 60.4% 역대 최대.. 체감 실업률은↑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42만3000명(3.1%) 증가했다. 반면 임시근로자는 11만4000명(-2.4%), 일용근로자는 2만9000명(-2.1%) 각각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5만9000명(1.5%) 증가했다. 상대적으로 경영 여력이 있는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7만명(-4.2%) 감소했다. 무급가족종사자는 1만8000명(-1.8%) 줄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0.4%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1983년 월간 통계 작성 이후 같은 달 기준으로는 가장 높은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기준인 15∼64세 고용률(66.2%) 역시 0.1%포인트 상승하며 개선됐다.

실업자는 119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6만명(-4.8%) 감소했다. 지난해 6월(-2만6000명) 이후 증가세가 9개월만에 꺽였다. 실업률은 4.3%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10.8%로 0.8%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2.6%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40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11만9000명(0.7%) 증가했다. 이중 '쉬었음'은 18만3000명 늘어난 200만명이다.
구직단념자는 6만3000명 증가한 53만8000명이다.

정부는 향후 고용 흐름과 리스크 요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일자리 중심의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정책 대응을 강화키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자료를 내고 "수출대책, 투자활성화, 규제혁신 등 민간 일자리 활력 제고를 위한 정책을 속도감있게 추진할 것"이라며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정책 지원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