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부 교수 "북한 식량난, 무분별한 농경지 개간 탓"
2019.06.12 15:12
수정 : 2019.06.13 16:56기사원문
북한이 무분별한 농경지 개간 탓에 내부적으로 식량 부족을 겪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식량부족으로 산지 개간이 심해지면서 산사태 등으로 식량문제가 더욱 가중되고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개방을 거부하는 북한의 정책과 함께 지리적 요인은 북한의 식량부족을 촉진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민부 한국교원대 지리교육과 교수(사진)는 12일 서울 소공로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경남중·고 재경동창회 조찬모임 덕형포럼에서 '한반도의 지정학과 국토의 미래'란 주제의 강연을 통해 이같이 지적했다.
북한과 중국의 접경지역은 물론, 두만강, 압록강, 비무장지대(DMZ) 등을 수차례 답사한 지리학자인 이민부 교수는 "북한의 변화 식량 부족은 농경지를 무분별하게 개간한 탓이 크다"며 "북한의 온성군 종성면 같은 경우 산을 모두 깎았다. 경사가 급한 곳은 비탈밭으로 활용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중국과 국경 지대인 두만강 하도변의 경우 사구가 발달되면서 농경지로 활용하기가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 교수는 압록강 하류 지형 변화와 홍수에 따른 북한의 피해도 언급했다.
이 교수는 "중국 단둥 위화도 근처에 가면 압록강으로 가는 길 위에 콘크리트 벽이 세워져있다"며 "경제난을 겪고 있는 북한은 홍수대비 장치가 부족해 폭우시 홍수범람과 침식 피해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지리 변화도 계속 진행중임을 강조한 이 교수는 북한의 식량문제가 지리적 요인 외에도 개방 거부에 따른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 교수는 "중요한 것은 정치체제보다 일반 주민들이 의식주를 충족해 정상적인 생활할 수 있느냐다"라면서 "농업, 재해, 관개, 비료, 농약, 도로, 연료, 식량 등을 동시에 지원해야 하는데 적어도 북한 내부 주민과 접촉할 자리부터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개성공단, 금강산, 황금평, 두만강 등 일명 '4극'을 개방한 북한은 정작 내부 지역은 개방한 바 없다.
이 교수는 "북한도 베트남의 개혁개방 기조인 도이머이 정책과 같은 정책을 추진해야 하는데 이런 것이라도 없다면 직접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게 없다"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결단이 중요할 때다. 북한 주민들이 어느정도 자유롭게 다니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교수는 북한이 한국에 비해 유리한 지정학적 요인을 갖추고 있음에도 중국에 의존한 정책으로 손해를 보고 있음을 지적했다.
한편 이 교수는 간도지역과 관련, "과거 간도는 청나라 여진족의 임시 주거지였다"며 "청나라 시조들이 그쪽 출신이라 해서 청나라 당시에도 간도지역은 섬을 비우듯 접근이 가능하지 않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행정조치를 하려면 엄청난 군사력을 동원해야 한다"며 "(간도가) 우리 영토가 되려면 국민이 주거하고 우리말을 쓰는 사람이 주거해야 한다. 아울러 군사를 주둔해야 하는데 조선시대 우리가 막을 4군6진에는 산성이 없었다"고 말해, 간도 지역 회복 여부에 대해선 다소 부정적임을 시사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