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버스 입찰, 공급·운수업체 부당거래땐 모두 퇴출"
2019.07.21 17:01
수정 : 2019.07.21 17:02기사원문
현재 국내 전기시내버스 시장은 정부의 차량구입지원사업이 확대됨에 따라 공급업체 간 판촉경쟁이 과열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전국광역단체에 전기시내버스 100대를 지원·보조한 데 이어 올해에는 630대 보급·지원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전기버스 시장은 완성차업체 간 과당경쟁을 뛰어넘어 'OO업체는 자본잠식당했다'는 둥 각종 험담과 악성 루머가 난무, 과열되고 있다. 또 'OO업체는 공급가격을 경쟁사보다 4000만∼7000만원 높게 책정시켰다'며 버스 공급업체와 운수업체 간 불법거래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또 다른 업체는 모터와 배터리 성능이 떨어져 교체하는 바람에 공급가격이 사실상 대당 4억3500만원으로 급상승했다는 제보가 들어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지난해 입찰 참여가 배제된 업체들은 "이들 수요·공급업체 간 커넥션이 의문시된다. 이런 업체는 정부의 모든 입찰에서 배제시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국내 전기차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중국차 국내시장 진입을 철저히 막아줄 것도 정부에 요구했다. 한편, 경기도의 경우 내년 217대의 전기버스에 보급·지원을 결정했으며, 에디슨모터스(대표 강영권)는 이 가운데 100대를 8월부터 S여객에 공급하기로 해 이 분야 국내시장에서 절대강자로 떠올랐다.
올해 서울 전기버스 입찰에는 이들 업체 외에 우진산전도 도전장을 낼 것으로 보이며 중국의 BYD, 하이거 등도 또다시 국내시장에 눈독을 들일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내버스는 오는 8월 110대 안팎의 전기버스 공급 입찰을 실시한다.
서울시 황보연 도시교통실장에게 전기버스 도입원칙 등을 들어봤다.
―서울의 전기차 시장이 공평하다고 볼 수 있나, 혹시 운동장이 한쪽으로 기울어지지는 않았나.
▲현대차, 에디슨모터스, 우진산전 등 국내 3사와 중국차 몇몇 업체가 입찰할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우리(서울시)는 앞으로 전기버스를 대폭 늘릴 건데, (국내업체의) 공급 능력을 잘 알고 있다. 현대차의 경우 수소 쪽은 하면서 전기는 소극적으로, 수세적으로 가려는 느낌을 받고 있다. 올해 서울 전기시내버스는 110대 안팎(지난해 서울시내 전기버스 보급대수는 29대)을 공급한 뒤 내년에는 최대 400대를 공급하겠다.
―몇 개 시내버스 운수업체가 전기버스를 공급받겠다고 신청을 했나.
▲서울승합, 도원교통 등 10여개 운수업체다. 현재 올해 확정받은 물량은 100대이지만 완성차 업체를 봐서 잘하는 업체가 있고, 괜찮다 싶으면 10여대가량 추가 공급시킬 수 있다.
―국내산업 보호 차원에서 올해 입찰은 중국 전기차를 배제시켜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하고 있다.
▲중국 업체가 배제되는 건 아니다. 다만 스펙을 정할 때 중국 차는 내부 사이즈가 국산차보다 작기 때문에 그런 얘기가 나왔는데 사이즈를 제한조건으로 넣을 거냐 하는 문제는 남아 있다. 하지만 중국 차는 배터리가 뒤쪽에 붙어 차체 길이(국산 차보다 실내공간이 30%가량 좁음)가 작다. 그것(짧은 사이즈)을 넣을거냐 말거냐 하는 고민이 있는데, 그게 잘못되면 타깃을 정해서 잘랐다(입찰제한을 했다)는 얘기가 되니까, 안될 일이다. 이 문제 때문에 중국 측과 협의하고 있는데, 들리는 소문에는 이미 중국 업체들이 이 얘기를 듣고 스펙 사양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차가 또다시 서울시 입찰에 참여한다면 국내업체가 반발할 텐데….
▲그렇지는 않다. 일부는 다시 참여할 수밖에 없다. 우리는 우리나라 도로에 맞게, 실내공간에 맞춰서 스펙을 준비 중에 있는데 우리가 막으면 논란을 만들고, 중국 업체들은 그걸 피하려고 다른 스펙을 한다는 얘기도 있는데, 그걸 떠나서 특정지역(중국)을 배제하네 마네 하지 않고 작년 평가 기준을 갖고 스펙을 정하고 있다. 다만 걱정스러운 것은 이 버스운수업체들이 (전기차 공급업체로부터) 리베이트를 받는 문제가 생기면 안될 일이다. (버스 공급가격을) 싸게 하되 계약금액을 바꿔놓고, 그걸 막기 위해서 고민중인데 나중에 하자가 있거나 잘못되면 일벌백계를 해서 아주 퇴출시켜 버리겠다(황 실장의 이 부문은 아주 단호해 보였다. 다시말해 공급업체와 운수업체 간 검은 거래가 적발되면 영구 퇴출시킬 것임을 천명한 것이다).
―지난해 전기버스 입찰금액이 너무 비쌌다는 지적이 있었다.
▲입찰금액 같은 경우도 금액 그대로 정해주지 않고 (차량가격) 범위를 줘서 그 안에서 본인들이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는데, 가격과 품질에 비해 싸게 도입하면 운수회사에 유리하게 해주려고 한다. 무조건 특정업체 것이니까, 좋으니까 비싸게 주고 사면 된다는 인식을 시내버스 운수업체들은 버려야 한다.
―지난해 참여했던 현대차·에디슨차·중국 하이거차 가운데 일부 업체 차량이 잦은 고장을 일으켰다는 지적이 일었다. 차량 출고 6개월밖에 안된 새 차가 고장을 일으켰다는 것은 문제 아닌가. 이번 입찰에서 배제시켜야 하는 거 아닌가.
▲초창기 그런 건 있을 수 있다고 본다. 초기에 운행하다 보면, 그래서 시범테스트 하다 보면 조금씩 문제점이 나온다. 생각보다 유명업체가 생산한 차량이 안좋게 나왔다. 이 업체가 사용한 게(부품) 국내에서 싼 걸 썼는지는 모르겠는데, 그걸 해당 업체에 지적했더니 모두 보완해서 들어왔다. 그 뒤에는 문제가 한 번도 없었다.
―그렇더라도 준공영제를 실시하는 서울에서 입찰가격이 높으면 안되질 않나.
▲올해 서울시 전기시내버스 입찰은 경쟁이 심하다. 또 서울시가 (입찰가를) 공공관리해서 가격 범위를 정해주고 나중에 가격대를 다시 조사할 계획이다. 이미 지방에서는 (높은가격의 입찰가를 제시했던) 이 업체의 가격이 떨어지고 있다. 시장가격경쟁력으로 떨어지고 있다. 이 업체가 제시한 가격대로가 아니라, 서울시가 정해준 가격 범위 안에 맞춰올 수 있으면 들어오고(입찰에 참여하고), 아니면 들어오지 말아라. 시장 가격을 다 주는 게 아니라 조사 가격으로 범위를 줄 것이다.
―국내 전기차 생산업체들은 서울시 입찰에 중국차가 참여하지 않길 바라고 있다. 중국차를 배제시키지 못할 이유라도 있나.
▲다시 말하지만 서울시는 중국차를 배제시키는 게 아니라 스펙을 준다. 이 스펙에 맞춰오면….
―중국차를 배제시키면 옛날 '마늘파동'처럼 국내 반도체 대중 수출이 타격 받는 등 중국의 무역보복이 두려운가.
▲서울시는 거기까지 거창하게 안 보고 있다. 또 무역보복 여부와 연관시킬 필요도 없다. 또 특정 업체에 맞춰주지 않는다. 입찰가격도 특정 업체의 네고가격(협상가격)으로 가지 않는다. 이 시장에서 이 정도 가격에 맞춰올 수 있다면, 다시말해 이런 범위를 주고 그 안에 맞춰들어오면 된다.
―국내 업체에는 어떤 범위를 맞춰줄 수 있나.
▲그건 아직 모른다. 서울시가 결정하는 문제가 아니다. 전문가들하고 협의해서 작년에 평가한 것을 갖고 한다. 배터리는 얼마 기준, 시간은 얼마 정도 등. 또 작년처럼 새로 들어오는 업체는 자신들이 제시한 성능이 실제 맞는지 로드테스트를 한다. 전 업체가 모두 참여해서 자동차 생산업체하고 그 버스 구입하려는 운수업체가 모두 참여한다. 이 테스트에서 좋은 결과가 안 나오면 입찰에서 배제시킨다. 특히 1차에서 도저히 안되겠다 하는 회사는 빼버린다. 작년에도 한두 개가 탈락했다. 그것도 로드테스트에서 성능을 너무 과장시켰다.
―그럼 시내버스 공급업체 선정은 언제 하나.
▲8월 말까지는 마쳐야 한다. 그래야 적어도 3개월간은 제작, 주문하고 스펙 줘서 11월에는 운행을 시킬 수 있다. 그런데 내년에는 연초에 입찰을 실시하고 9월부터 운행에 들어갈 것이다. 전기차는 추위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dikim@fnnews.com 김두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