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 저산소증 메커니즘 규명...새로운 암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2019.10.07 21:21
수정 : 2019.10.07 21:21기사원문
이를 통해 질병, 특히 빈혈이나 암 질환을 이해하고 새로운 치료방향을 정하는데 기여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윌리엄 캘린은 폰히펠린다우 유전자 이상에 따른 선천성 질화부터 암발생 또는 예방에 해당 유전자 역할을 밝혔다. 세멘자는 히프1 유전자를 처음 발견하고 위의 폰히펠유전자 관련성을 규명했다.
피터 랫클리프는 적혈구 생성 촉진 호르몬인 에리스로포이에틴과 관련해 EPO 유전자를 연구했고 특히 저산소증에 EPO 유전자 역할을 규명했다.
이들의 연구를 통해 종양분야에서 표적치료제 등 약제 연구에 진척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종양(암덩어리)은 크기가 점점 커지면서 저산소증에 빠지게 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저산소 상태에서 암 세포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됐다.
예를 들면 종양세포가 산소가 없는 상태가 되면 치료에 저항성을 가지게 된다. 이들의 연구로 저산소증에 빠진 상태에서는 항암제가 잘 듣지 않는다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이대호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항암 치료나 방사선 치료를 할 때 암이 저산소 상태에 빠지면 왜 치료제가 잘 안 듣는지, 약제가 효과가 없는지, 앞으로 어떻게 개선할지, 어떻게 치료효과를 향상할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