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위기 경고한 FAO, 남의 일 아니다

      2020.04.02 16:53   수정 : 2020.04.02 16:53기사원문
코로나19 사태로 이제 식량위기를 걱정해야 하는 순간이 다가오고 있다. 거미줄처럼 촘촘했던 전 세계 유통망에 균열이 생기면서 식량대란이 빚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식량자급률이 낮은 우리나라가 특히 더 긴장해야 하는 상황이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식량시스템에 미칠 영향을 완화하는 조치가 신속히 취해지지 않을 경우 4월과 5월 식량공급망 붕괴가 예상된다"고 경고했다. 국제기관이 식량대란을 공식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FAO의 경고는 쌀 주요 생산지인 아시아 국가를 비롯, 농업 비중이 큰 나라들이 잇따라 자국안보 차원에서 농산물 수출금지를 발표하는 와중에 나왔다. 인도, 태국에 이어 세계 3위 쌀 수출국인 베트남은 지난달 24일부터 쌀 수출을 멈췄고, 캄보디아는 5일부터 금지를 시작한다. 지난달 달걀 수출을 막았던 태국은 이를 한달 더 연장하기로 했다. 러시아, 카자흐스탄에서도 밀가루, 메밀, 설탕, 야채 등 농산물 수출제한이 이뤄지고 있다. FAO는 식량공급망이 유지될 수 있도록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지만 지금 같은 비상시국에 세계의 연대를 기대하는 건 쉽지 않다.

식량대란 위험성은 잇단 국경폐쇄, 건강한 노동인력 감소 등 복합적 요인으로 볼 수 있다. 그동안 식량공급에서 트럭, 철도, 선적, 노동 인력 등은 고려대상이 아니었지만 지금은 공급망 쇼크를 가져올 요소가 즐비하다는 게 전문가들 판단이다. 전염병 사태가 장기화되면 식량장벽은 더 강고해질 수 있다. 외신들은 유럽과 미국에서도 조만간 농산물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들 국가의 농업부문은 주로 이민자 노동에 의존하는데, 최근 국경봉쇄 등으로 인력이동이 제한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곡물자급률은 1985년 48.4%에서 2018년 21.7%로 지속적으로 하락해 왔다. 수년째 20%대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에 속한다.
그 대신 수입산은 종류와 양이 계속 늘고 있다. 해외로부터 식량공급이 끊긴다는 건 상상할 수 없는 일이지만, 지금은 최악을 가정하고 준비할 수밖에 없다.
장기적 안목으로 식량안보 대비책 마련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