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기후변화협약
2021.01.21 18:00
수정 : 2021.01.21 18:00기사원문
기후협약 복귀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유산과 확실히 단절하겠다는 신호탄이다. 2015년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주도로 195개국이 이 파리협약에 서명할 당시 바이든은 부통령이었다. 협약은 산업화 이전 수준 대비 지구 평균온도가 2도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온실가스 배출량을 단계적으로 감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7년 "지구온난화 주장은 사기"라며 탈퇴를 선언했다. 탄소배출 세계 1, 3위인 중국, 인도에 비해 2위인 미국에 협약에 따른 규제가 더 강하게 작동한다는 불만을 표시하면서다. 제조업 리쇼어링과 셰일석유 혁명 등 트럼프식 미국 경제 재건 의도가 근원적 탈퇴 배경으로 읽히는 대목이다.
바이든 정부의 기후협약 복귀로 미국 산업도 업종별로 희비가 엇갈리게 됐다. 증시에서는 일단 친환경 산업·디지털·차세대기술 등의 업종이 수혜주로 떠오를 전망이다. 반면 바이든 대통령이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석유를 보내는 송유관 건설사업을 취소한다는 소문과 함께 석유산업 전망은 '잔뜩 흐림'이다.
이처럼 기후변화 대응을 중시하는 바이드노믹스는 한국에는 기회이자 위험요인이다. 바이든이 탄소국경세 공약을 실천에 옮길 경우 철강·석유화학·시멘트 등 탄소집약적인 우리의 주력 수출업종은 타격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전기차·수소전지차 등 친환경차나 배터리 산업 육성은 한국에도 호재일 수 있다. 특히 바이든 정부가 대규모 투자를 예고한 청정에너지 인프라 부문은 한국 기업에 열린 기회의 창이다.
kby777@fnnews.com 구본영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