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교통은 탄소중립의 핵심

      2021.11.22 18:00   수정 : 2021.11.22 17:59기사원문
수송수단의 발전은 우리 인간의 이동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왔고, 약 4만㎞에 달하는 지구 한 바퀴 거리도 이제는 누구나 쉽게 다닐 수 있는 거리가 됐다. 그러나 그동안 인간의 이동 편의를 위해 배출된 온실가스가 지구의 온도를 조금씩 높여 왔다는 불편한 진실을 이제는 마주할 때가 됐다.

파리 협정에서는 산업화 이전과 대비해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이 2도가 넘지 않도록 막고 더 나아가 1.5도 이하로 제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목표를 제시했고, 이를 위해 2050년에는 실질적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들어 탄소중립 사회로 전환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각국에서 발표하고 있다.

최근 2019년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2050년까지 EU 내에서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설정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 방안으로 '그린딜(EU Green Deal)'을 발표해 최근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50%까지 상향했다.
유럽은 대폭 상향된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기존 사업장 중심 규제에서 제품 중심으로 규제를 전환하고 있다. 이 중 주목해야 할 규제가 바로 탄소 국경세다. 수입품을 대상으로 해당 상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배출된 탄소량을 따져 비용을 부과하는 것으로 사실상 추가 관세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각 국가에 대해 탄소중립 실현에 대한 동참을 유도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2050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을 2020년 12월에 유엔기후변화 사무국에 제출해 탄소중립 물결에 동참하고 있다. LEDS에는 국가 전체 배출량의 약 13.5%를 차지하는 수송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친환경차를 확대하고, 화물 운송체계를 저탄소 운송수단인 철도로 전환하는 등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탄소중립을 위한 구체화된 추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탄소중립위원회에서 시나리오 등을 구성하고 있으며, 국토교통부에서도 수송부문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구체화하고 있다. 철도부문에서는 승객 및 화물수송의 철도 전환, 디젤 철도차량의 전기·수소차량 전환 등을 위한 구체적 실천전략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철도는 기존 승용차 대비 적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고, 전기자동차와 생애주기 수송원단위 배출량을 비교해도 약 30% 낮다는 최근 연구결과도 있어 저탄소 교통의 핵심수단이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니다.
타 교통수단에서 철도교통으로 전환을 본격적으로 확대한다면, 수송부문 온실가스를 70%까지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에서는 2030년까지 약 17%까지 철도 수송분담률을 높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고, 생산에서 폐기까지 생애주기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연구개발에도 투자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철도산업의 완성을 위해서는 기존 철도수송분담률 향상, 디젤철도차량, 생산부터 폐기단계까지의 탄소배출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철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박사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