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의 제전' 기대했지만..쓸쓸한 베이징 동계올림픽
2022.02.04 10:44
수정 : 2022.02.04 10:44기사원문
4일 개최되는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고위관리를 보내지 않아 귀빈수가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미국과 영국, 호주 등 일부 국가들이 중국의 인권 문제를 이유로 이번 베이징 올림픽에 선수단은 파견하지만 개회식 등에 고위 관리는 보내지 않는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4년 전인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개회식에는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하 당시 직책),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특별 대표인 한정 상무위원, 북한 국가수반인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특사 자격이었던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 등이 참석한 것과 대조적이다.
특히 북한도 이번 동계올림픽에 고위급 인사를 파견하지 않을 것이 유력하다. 일각에서 북한의 주중대사와 별개로 고위급 인사가 평양에서 베이징으로 파견될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이날 김정은 총비서의 축전이 이미 중국 측에 전달된 것으로 봤을 때 별도의 고위급 인사의 파견은 없는 것이라는 관측이다.
올림픽 직전 성사될 것으로 기대됐던 시진핑 주석과 문재인 대통령의 두 정상 간 화상 정상회담 역시 유야무야 됐다.
현재 미중 갈등에 더해 우크라이나 사태로 미러 갈등까지 불거지며 중러의 지원을 등에 업은 북한이 웬만한 제재 카드에 반응하지 않는 상황에서 한반도 정세의 반전을 모색하기는 힘든 상황이라는 지적이다. 새 정부가 들어서는 5월 전후까지는 외교력을 발휘할 여지가 없어 현상유지에 만족해야 하는 실정이다. 특히 베이징 동계올림픽 폐막 이후 중국의 눈치를 보며 참고있던 북한이 모라토리엄 선언을 파기할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한편 이번 올림픽 개막식에 세계 주요 7개국(G7) 중 최고 지도자가 참석하는 곳은 단한 곳도 없다. 주요 20개국(G20) 중에서도 개최국인 중국을 제외하면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 아르헨티나 3곳 밖에 없다. 이외에 아랍에미리트·카타르·이집트·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타지키스탄·캄보디아 등 개막식 참석 정상들은 수십년 장기 집권 등 비민주주의 체제 국가를 이끌고 있다. 민주주의 국가는 싱가포르·몽골·폴란드 등 8곳 뿐이다.
우리나라는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박병석 국회의장이 개막식에 참석한다.
true@fnnews.com 김아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