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선진국들은 왜 달을 탐낼까..목표는 '화성'
2022.08.08 06:00
수정 : 2022.08.08 06:40기사원문
우주 선진국들이 달에 그토록 집착하는 이유는 두가지. 가장 큰 목적은 달을 화성이나 그보다 먼 행성으로 가기위한 예행연습을 하기 위해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김경자 박사는 8일 "달에 있는 자원을 추출해 사용하면서 생활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한 뒤 달보다 생존환경이 좋은 화성 진출을 노리고 있다"고 말했다.
■화성가기 위한 정거장 건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 따르면, 현재 미 항공우주국(NASA) 뿐만아니라 유럽 우주국(ESA)과 19개국에서는 106개의 달 궤도 및 달 관련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올해는 인도, 일본, 아랍에미리트 등도 달 탐사선 발사를 준비하고 있다.
50년전 미국과 러시아가 경쟁적으로 진행했던 달 탐사는 기술우위를 뽐내기 위한 일회성 이벤트에 불과했다. 하지만 2017년 미국 주도의 국제 유인 달탐사 계획인 '아르테미스' 발표했다. 또한 2018년 달 극지방에 서리 형태로 얼어 있는 물이 존재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세계의 움직임이 빨라졌다.
현재 가장 규모가 큰 달탐사 계획은 아르테미스로 우리나라도 지난해 10번째 참여국이 됐으며, 총 21개국이 함께 하고 있다. 이 계획은 지속 가능한 달 방문을 가능케 하기 위해 달 궤도에 차세대 우주정거장 '루나 게이트웨이'를 건설하려고 한다. 우주정거장을 통해 우주선이 지구에서 대기권을 통과하기 위해 소모하는 엄청난 연료를 절약할 수 있다.
김경자 박사는 "달 토양 성분의 45%가 산소"라며 "이론적으로 달 어디든 자원추출기를 설치해도 산소와 물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수십종의 희토류 존재
인류가 달을 향하는 또다른 이유인 자원이다. 달 운석 연구결과, 달에는 수십종의 희토류와 헬륨-3가 존재한다.
희토류는 스마트폰, 전기 자동차, TV 등 전자제품 제조에 필수적이지만 지구에서는 생산지가 제한적인 전략자원이다. 영구자석 등의 재료로 사용하는 산화네오디뮴은 현재 톤당 2억원을 훌쩍 넘어섰다. 이런 희토류가 지구의 몇배가 존재하고 있어 매력적이다.
또 현재 개발중인 핵융합발전은 헬륨-3가 필요한데 지구에는 그 양이 많지 않다. 항공우주연구원 이상률 원장은 "두꺼운 대기와 강력한 자기장에 의해 태양풍으로 부터의 보호를 받는 지구와 달리 태양풍을 그대로 받는 달에는 약 110만 톤에 달하는 헬륨-3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번 다누리 발사로 국내 뿐만아니라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도 한국의 우주개발 역량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NASA 존 구이디 우주탐사시스템부 부국장은 "한국과 협력 분야가 많다고 생각한다"며 "한국이 다누리를 개발하면서 발휘한 역량을 아르테미스에서도 발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