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 1호기 "해체땐 폐로기술 확보"… 2호기 "계속운전 준비"
2023.07.16 18:34
수정 : 2023.07.16 18:34기사원문
■고리1호기, 원전해체 산업 선봉장
고리원전 본부 입구에서 엄격한 신분확인 절차를 거친 후 가장 먼저 방문한 곳은 고리 1호기였다. 설비용량 587㎿의 가압경수로인 고리 1호기는 건설 당시 건설비만 1561억원이 투입된 최대 국책사업이었다. 이는 경부고속도로 건설비의 약 4배에 달하는 규모로 전해진다. 안전모에 안전화까지 갖춰 입은 뒤 고리 1호기 내부에 들어섰다. 정지된 지 벌써 6년이나 지났지만 내부는 굉장히 정리된 모습이었다. 다만 가동을 정지한 만큼 발전소 특유의 고온과 고음은 확인할 수 없었다. 고리 1호기는 2007년 6월 30년의 설계수명 도래로 약 6개월간 가동을 멈춘 후 2008년 1월 계속운전을 한 차례 진행한 바 있다. 이후 2017년 영구정지 이후 해체를 기다리고 있다.
고리 1호기는 즉시해체 방식의 해체를 준비 중이다. 해체 승인 후 15년 내외로 소요기간이 짧으면서도 해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해당 부지를 빠르게 재활용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고리 1호기의 폐로 및 해체를 결정한 것은 전 세계 폐로 시장 개방을 염두에 둔 결정이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원전 폐로 시장 규모가 2030년 500조원, 2050년 1000조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수원과 관련 기관은 2021년 기준 방사능물질 제염부터 삼중수소 처리, 오염지하수 복원 등 75개 관련 기술을 자체 개발했다. 해체 기술을 자체적으로 달성했고, 현재는 관련 기술의 실증 단계를 거치고 있다. 정부의 해체 승인만 나면 우리 기술로 원전을 해체할 수 있고, 이를 발판으로 해외 해체 시장에 도전할 수 있는 것이다.
■계속운전 준비 중인 고리 2호기
이어서 고리 2호기로 향했다. 고리 2호기 내부의 제어실 출력상황 계기판에 '원자력 출력 0%' '발전기 출력 0㎿'라고 표기돼 있었다. 영구정지를 결정한 고리 1호기와 달리 2호기는 계속운전을 준비 중이다. 고리 2호기 외에 9기의 원전(고리 3·4호기, 한빛 1·2호기, 월성 2·3·4호기, 한울 1·2호기)이 2029년까지 설계수명이 종료될 예정이다. 한수원은 이들 원전도 계속운전을 신청할 예정이다.
원전의 계속운전과 관련해 가장 큰 반발은 안전성이다. 계속운전을 반대하는 측은 노후원전에서 발생할 사고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다. 하지만 이날 본 고리 2호기는 위험과는 다소 거리가 있어 보였다. 해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원전이지만 지진해일(쓰나미)에 대비하기 위해 4m가량 높이의 차수벽이 원전을 둘러싸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직접적 원인인 냉각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이동식 발전차량과 냉각수 공급차량도 항시 대기 중이다.
사용후핵연료 저장조의 추가 확충도 계획 중이다. 한수원은 저장조에 사용후핵연료를 촘촘히 저장하는 조밀랙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향후 10년치 사용후핵연료를 추가 저장할 수 있다.
한수원 관계자는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에너지안보 확보와 탄소중립 달성, 국가비용 절감 등을 위해서는 원전의 계속운전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이들 원전의 계속운전이 결정되면 약 100조원의 국가 에너지비용 절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도 말했다.
leeyb@fn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