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3조 날아간 전국 집값… 가구당 순자산 4% 줄었다

      2023.07.20 18:09   수정 : 2023.07.20 18:09기사원문
우리나라 비금융자산의 약 75%를 차지하는 부동산 자산 가격이 하락하면서 지난해 국부가 2.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년 증가율(11.1%)의 5분의 1 수준이다. 지난해 주택가격 시가총액은 약 343조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자산에서 또한 부동산이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부동산 경기 부진으로 가계의 순자산도 감소했다. 가구당 순자산은 5억2071만원으로 전년 대비 4.1% 줄었다.
부동산에 자산이 쏠려 있는 만큼 우리나라 국부와 가계자산이 부동산 경기에 따라 좌우된다는 분석이다.

20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국민대차대조표 잠정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우리나라 국민순자산은 2경380조원으로 전년 대비 441조5000억원(2.2%)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21년 1998조8000억원(11.1%)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증가세가 큰 폭으로 둔화했다. 국민대차대조표는 국민경제 전체 및 개별 경제주체가 보유한 자산의 규모 및 변동상황을 기록한 표로, 우리 경제의 생산능력과 국부를 파악할 수 있는 '국가경제 재무제표'다.

국부 증가세가 주춤한 건 지난해 부동산 경기가 부진했기 때문이다. 김민수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국민 B/S팀장은 "증가폭 둔화는 자산가격 하락에 따른 비금융자산의 명목보유손익 감소에 주로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금융부문 투자 등 '자산 거래'보다는 주택가격 시가총액이 감소하는 등 '자산가격 하락' 영향으로 손실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지난해 주택가격이 하락한 영향으로 주택시가총액은 1년 새 342조8000억원 증발했다. 부동산 가격이 상승세였던 2021년 시총이 772조1000억원 증가한 것과 대조적이다. 시총은 2021년 13.4% 증가했지만 지난해엔 5.2% 감소, 전체 시총은 6209조원으로 집계됐다.

토지자산은 전년 대비 1.1% 감소한 1경489조원으로, 토지와 건물 가격 하락에 부동산자산(토지+건물자산)이 감소(-0.2%) 전환했다. 이에 따라 비금융자산 중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2년 이후 10년 만에 처음 감소(77.1%→75.8%)했다. 다만 여전히 전체의 4분의 3을 차지, '부동산으로 자산 쏠림'이 계속됐다.

부동산 자산이 전체 자산의 4분의 3에 달하는 가계에서도 순자산은 감소했다. 2008년 제도부문별 순자산 통계 편제를 시작한 후 14년 만에 처음이다. 지난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은 1경1237조원으로 전년 대비 317조8000억원(2.8%) 감소했다.

김민수 팀장은 "주택자산을 중심으로 비금융자산이 감소 전환(-302조7000억원)한 데다 주가 하락에 금융순자산도 소폭 감소(-15조1000억원)한 데 기인하다"고 설명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74.6%로 이 중 주택이 51.0%, 비주택이 23.6%다. 현금 및 예금 비중은 20.4%에 그친다.

가구당 순자산 또한 2021년 5억4301만원에서 지난해 5억2071만원으로 감소한 걸로 추정됐다. 1년 새 4.1% 줄어든 것이다.

부동산에 자산이 편중된 우리나라 경제구조상 지난해 부동산 경기 부진으로 가구당 순자산은 줄고 국부는 증가세가 큰 폭 둔화됐다.


한편 국제비교를 위해 시장환율로 환산한 결과 우리나라 가구당 순자산은 40만3000달러로 미국(111만1000달러), 호주(99만9000달러), 캐나다(71만4000달러)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 낮았다. 2021년 기준 일본의 가구당 순자산(49만2000달러)에 비해서도 낮은 수준이다.
구매력평가환율로 환산한 결과 가구당 순자산은 62만6000달러로 2021년 영국(66만1000달러), 프랑스(65만5000달러)와 유사한 수준이었고 일본(52만9000달러)보다 높았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이창훈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