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소비·생산·투자 부진…'최악 예상' 청년실업률은 비공개

      2023.08.15 18:25   수정 : 2023.08.15 18:27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베이징=정지우 특파원】중국의 부동산 개발 투자가 5개월째 감소폭을 키워갔다. 소매판매와 산업생산, 고정자산투자는 전월과 전망치보다 떨어졌다. 반면 도시 실업률은 상승했다.

중국 경제가 총체적 나락으로 떨어지는 형국이다. 위기감이 고조된 중국 당국은 위안화 약세와 자본 유출 우려에도 정책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시장의 동요를 감안, '최악'의 청년실업률(16~24세)은 감추기로 했다.

■中소비·생산·투자·부동산 동반 부진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7월(누적) 부동산 개발 투자 증가율은 -8.5%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누적) -10%로 최저치를 찍은 뒤 올해 2월 -5.7%로 '반짝' 회복했으나 다시 5개월째 내려가는 추세다.


전년동기대비 부동산 개발업체 주택 건설면적은 6.8%, 분양주택 판매 면적은 6.5% 각각 감소했다. 분양주택 판매액은 1.5% 줄었다. 부동산 개발 업체의 자금조달은 -11.2%, 이 가운데 국내 대출은 -11.5%로 각각 기록됐다. 반면 분양 주택의 매물 면적은 17.9% 증가했다.

부동산을 구입하기 위한 대출이 감소하면서 매물은 넘쳐나고 부동산 개발업체로 흘러들어가는 자금도 줄어든 것으로 해석된다.

여전한 부동산 냉각은 7월 소매판매와 산업생산 지표에서도 확인된다. 품목별 소매판매 증가율을 보면 건축·장식재료가 1년 전과 견줘 11.2% 감소했다. 산업생산에선 시멘트가 5.7% 줄었다.

7월 소매판매는 전년동월대비 2.5% 증가했다. 전월 3.1%, 시장 전망치 4.5%를 모두 하회했다.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시작 전인 지난해 12월의 -1.8% 이후 올해 들어 가장 낮다.

중국 소매판매는 소비지출 변화를 나타내며, 이는 국내총생산(GDP) 기여율이 77.2%(2023년 상반기 기준)에 달할 정도로 중국 경제의 핵심이다.

중국 정부는 2·4분기 이후에도 부진이 이어지자, 자동차와 가전제품 소비를 늘리고 부동산 규제 정책을 일부 완화했다. 또 민간 기업에 대한 지원도 약속했다.

그러나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을 비롯한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우려가 속출하는 등 부동산 부문의 침체는 개선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또 지방 정부 부채 압력은 증가했고, 외국인 수요는 냉각되는 상황이다.

핵심 소비 활성화 대책으로 내놨던 자동차마저 -1.5% 조사되며 반응하지 않는 시장의 현실을 반영했다. 또 문화·사무용품(-13.1%), 금·은·장신구(-10.0%), 화장품(-4.1%) 등 반드시 필요치 않는 물품도 소매판매가 줄었다.

같은 달 산업생산은 3.7%로 기록됐다. 전월과 전망치 4.4%를 넘어서지 못했다. 자동차는 3.8% 감소했으나 정부의 전방위 지원과 가격 할인 경쟁 덕분에 신에너지차는 24.9% 늘었다. 농촌을 제외한 공장·부동산 등 자본 투자에 대한 변화를 보여주는 고정자산투자는 1~7월 3.4%에 그쳤다. 전월과 전망치는 3.8%였다. 코로나19 봉쇄가 한창이던 지난 2020년 12월의 2.9% 이래로 최저치다.

주요 외신은 "(7월 지표는) 중국 경제가 여전히 힘을 못 쓰고 있음을 시사한다"면서 "실망스러운 수출, 소비자물가지수(CPI)와 더불어 정책 입안자들이 더 많은 지원 조치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쉿' 공개하지 않기로 한 청년실업률

주목을 받았던 청년실업률 지표는 중국 정부가 갑자기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중국의 청년실업률은 지난달 21.3%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했었다. 7월 들어 도시 실업률이 전월대비 0.1%p 상승한 5.3%인 것을 고려하면 청년실업률도 재차 올랐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중국 국가통계국은 "고용 상황이 전반적으로 안정되어 있다"면서도 매월 공개하던 청년실업률을 발표 내용에 담지 않았다.

중국의 청년실업률은 작년 5월 18.4%에서 9월 19.9%, 올해 4월 20.4%, 5월 20.8%, 6월 21.3%로 갈수록 새로운 최고치를 만들어내는 상황이다.

같은 날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정책금리인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대출 금리를 종전 2.65%에서 2.50%로 0.15%p,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 금리는 1.9%에서 1.8%로 0.1%p 각각 인하했다.
MLF와 역레포를 통해 시중에 공급되는 자금은 6050억위안(약 111조원)이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여지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지만 중국 경제가 사실상 '디플레이션'에 빠졌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실물 경제지표도 줄줄이 하락하자, 선택한 결정으로 보인다.
이로써 오는 20일 발표하는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도 내려갈 가능성이 커졌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