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비은행권 PF 부실 터져도 금융시스템 충분히 감내 가능"

      2024.03.28 18:18   수정 : 2024.03.28 20:26기사원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4월 위기설'이 잔존하는 가운데 PF 사업장 부실이 금융기관의 자본 적정성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저축은행 등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으나 대손충당금 등 자본여력이 충분해 PF 부실이 크게 확대되는 예외 상황을 가정해도 금융권 전체가 감내할 수 있다는 것이다.

28일 한국은행은 '3월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를 제시했다.



한은은 △고위험 PF 사업장의 익스포저 전체가 부실화하는 경우(시나리오1) △고위험 PF 사업장 시공사의 부실이 다른 사업장으로까지 전이되는 경우(시나리오2) 등 두 가지 상황을 가정해 스트레스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두 시나리오 모두 국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그간 금융기관이 규제 수준을 상당폭 상회하는 수준의 양호한 자본비율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의 감독 규제 등으로 PF 익스포저의 과도한 확대가 제약되고 금융기관들의 대손충당금 적립도 적극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종렬 한은 부총재보는 이날 기자설명회에서 "PF 연체율이 과거 위기 때보다 굉장히 낮고, 금융기관도 충분한 유동성과 손실 흡수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정부도 PF 시장 안정을 위해 다양한 정책 수단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저축은행 등 비은행금융기관은 두 시나리오에서 모두 자본비율이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시나리오1의 경우 저축은행의 자본 비율이 기존 14.1%에서 12.6%까지 하락했다. 은행의 경우는 기존 16.6%의 자본 비율을 유지했다. 두 번째 시나리오에서도 은행(16.6→16.4%)에 비해 저축은행(14.1→11.4%) 자본 비율 하락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비은행권이 위험 익스포저 비중이 높아 PF 부실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하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4·4분기 기준 업권별 PF 대출 연체율은 △증권사 13.7% △저축은행 6.9% △여전사 4.7% △상호금융 3.1% △보험사 1% △은행 0.4% 등으로 비은행권이 은행권에 비해 매우 높다.


한은은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PF 부실 우려가 커져도 전 금융권의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되기는 어렵다고 전망했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PF 대출 연체율이 2.7%로 9월(2.42%) 대비 0.28%p 상승했으나 과거 위기 시 13.6%까지 높아졌던 점과 비교하면 굉장히 낮은 수준이고 정책당국과 대주단이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어 건설사의 부실 확산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이 부총재보는 "2금융권 연체율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며 "금융기관이 충분한 유동성과 손실 흡수력을 보유하고 있고, 정부도 PF 안정을 위해 다양한 정책 수단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