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재난시 부서별 매뉴얼 생성 시스템 갖춰… 신입도 빠른 대처 가능

      2024.06.03 18:48   수정 : 2024.06.03 21:08기사원문
국내외 석학들이 재난 대응 공조시스템이나 훈련센터를 갖춘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제언했다.


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열린 제7회 재난안전 지진포럼에서 기조연설에 나선 누마다 무네요시 도쿄대 교수는 일본 정부가 구마모토 지진 이후 '재난 대응 프로세스 관리시스템(BOSS)'을 구축했다고 이같이 설명했다. 해당 시스템은 재난 발생 시 각 업무 또는 부서별로 재난 대응 프로세스를 생성하게 된다.



그는 "과거 재난 대응 시 작성된 필요한 매뉴얼, 국가별 알림, 파일 등을 활용해 업무에 익숙하지 않은 직원도 전체적인 그림을 빠르게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다"면서 "매뉴얼과 시스템으로 재난 대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시스템은 클라우드 기반 접근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재난 시 현장이나 다른 지자체 지원을 위해 파견될 때 활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를 통해 직원들은 사무실 외부에서 태블릿 장치를 사용해 시스템에 접속하고 정확한 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면서 "재난 대응을 위해 정보통신기술(ICT), 데이터 변환, 무선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재난 대응 운영을 표준화하고 시스템 운영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지원인력이 들어오더라도 공통된 이해를 통해 재난 피해지역에 대한 지원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면서 "또한 지자체별로 재난 시스템에 차이가 없도록 하기 위해 전국적인 시스템의 일반화와 함께 중앙정부 공무원이 자치단체를 적극 지원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용성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지진해일 대응체계 혁신기술'에 대한 강연을 통해 쓰나미가 산사태, 지진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역설했다.

박 교수는 또한 지진해일의 부정류 흐름 특성을 반영한 연안 재난대응 체계 개선을 위해 △광역지진해일 수치모형 개발 △상세역 지진해일 수치모형 개발 등을 제안했다.

'지진위험관리와 미국 지진방재 제도'를 주제로 강의에 나선 홍기증 국민대 교수는 지진 피해 저감을 위해 여러 기관의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지진방재제도에 대해 소개하면서 "지진방재를 위해서는 여러 기관들의 협력이 필수"라면서 "이를 통해 지진 피해 저감을 위해 실질적인 실무와 정책을 개발하는 것이다. 궁극적인 목표는 인명과 재산의 위험을 줄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홍 교수에 따르면 미국의 지진방재제도인 NEHRP에는 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 미국연방응급관리기구, 미국지질조사국, 미국국립과학재단 등 4개 기관이 협업하고 있다.

이들 기관은 지진위험을 특성화 및 평가하기 위한 연구 및 기타 활동을 수행하거나 국제적 교류를 위한 포럼을 운영한다.
또 구조물과 라이프라인의 건설코드를 위한 지진재해지도 및 성능기반설계 접근법에 필요한 다른 지도의 유지관리와 함께 건물, 구조물 및 라이프라인의 안전과 성능 개선을 위한 연구 지원도 포함시켰다.

홍 교수는 "해당 기관들은 지진복원력 평가와 관련된 연구와 그 결과를 시행하기 위한 통합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한편, 연구에서 나온 결과들을 제도적으로 만드는 것까지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 또한 높아지는 지진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행안부, 기상청, 각 부처, 연구기관들을 통합해 협업할 수 있는 지진방재제도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ktitk@fnnews.com 김태경 장충식 이설영 노진균 윤홍집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