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韓, 방위비 13조원 내야"… 9배 인상 예고

      2024.10.16 18:00   수정 : 2024.10.16 18:00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실리콘밸리=홍창기 특파원】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사진)은 15일(현지시간)'주한미군 주둔비용 재협상', '북한의 남북연결 도로 폭파' 등 한국과 관련된 발언을 쏟아냈다. 자동차 관세는 2000%까지 물릴 것이라는 발언도 했다.

■주둔비용, 남북 문제 거론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시카고에서 열린 '시카고 경제클럽' 주최 대담에서 "내가 백악관에 있으면 한국은 주한미군 주둔 비용으로 연간 100억 달러(약 13조원)를 지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이날 거론한 연간 100억 달러는 한국이 2026년 이후 지불할 방위비 분담금의 9배 가까운 금액이다.

한미는 미 대선을 앞두고 이달 초 2026년 방위비 분담금을 전년도 대비 8.3% 인상한 1조 5192억원으로 정했다.
또 2030년까지 해마다 분담금을 올릴 때 소비자물가지수(CPI) 증가율을 반영키로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방위비 분담금 협정 문안을 타결한 바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나는 한국을 사랑하고 그들은 멋진 사람들이며 극도로 야심 찬 사람들"이라면서도 "미국은 그들을 북한으로부터 보호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이 재임했을 때 한국에 50억 달러의 연간 방위비 분담금을 처음에 요구했으나 한국이 난색을 표해서 일단 20억 달러를 내게 하고 그다음 해에 다시 50억 달러로 만들려 했다고 주장했다. 또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2021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자신이 합의한 방위금 분담금을 다 뒤집었다면서 부끄럽다고 했다.

아울러 트럼프 전 대통령은 또 북한이 이날 경의선 및 동해선 남북 연결도로의 일부 구간을 폭파한 사실을 소개하면서 "한국이 지금 러시아와 북한 그리고 여러 나라들로부터 단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남북간 도로를 통한 중국, 러시아와의 육로 왕래는 과거 남북관계가 좋았던 시절의 목표였을 뿐 아직 실현되지 않은 일인데, 트럼프 전 대통령은 마치 한국이 육로로 중·러와 왕래하고 있었던 것처럼 말했다. 그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북한이 막 철로(실제로는 도로)를 폭파했다"면서 "이것은 나쁜 소식"이라고 지적한 뒤 "오직 트럼프가 그것을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수입차 2000% 관세"

관세에 대해서도 또 다시 강조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관세를 "2000%"까지 인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기업을 보호하겠다며 가장 좋아하는 단어가 "관세"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독일 자동차 기업 메르세데스-벤츠를 언급하며 수입산 자동차에 물리는 관세를 올린겠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우리는 그들에게 관세를 부과할 것이다. 그러면 어떻게 되는지 아나? 메르세데스-벤츠는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 것이다"고 설명했다. 트럼프는 "그들은 전부 독일에서 만들고는 미국에서 조립만 한다. 자신들이 하고 싶은 대로 한다"며 이를 막겠다고 주장했다.

이날 트럼프는 중국 등 외국 자동차 업체들이 미국과 자유무역협정을 맺은 멕시코에 공장을 지어 관세 장벽을 회피하는 상황을 언급했다. 그는 멕시코에서 들어오는 차를 두고 "내가 이 나라의 대통령이 되면, 나는 100, 200, 2000%의 관세를 물릴 것"이라며 "그들은 미국에서 단 한 대의 차도 팔지 못할 것이다"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15일 행사에서 "내게 사전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는 관세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관세 인상에 따른 물가상승에 대해 "관세가 높을수록 기업이 미국에 들어와 공장을 지을 가능성이 커진다"고 예상했다.
이어 "동맹국들은 우리의 적들보다 우리를 더 많이 이용했다"며 동맹을 상대로 관세를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대선 전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를 비판하며 연준에 대통령의 발언권이 필요하다고 밝혔던 기존 입장도 재확인했다.
그는 집권 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물러나게 할 것인지에 대해 즉답을 피하면서도 대통령이 연준 의장에게 금리 변경에 대한 견해를 밝히는 것이 공정하다고 봤다.

theveryfirst@fnnews.com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