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기업이 선점한 AI시장...공정위 “법제도 검토”
2024.12.17 14:32
수정 : 2024.12.17 14:32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공정거래위원회가 국내 생성형 인공지능(AI) 시장을 분석한 결과 일부 기업 시장 선점으로 공정경쟁을 침해할 요인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공정위는 AI 데이터 수집 등 새로운 형태의 기술과 관련한 법 규율 가능성을 내년부터 검토할 계획이다.
17일 공정위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생성형 AI와 경쟁'이라는 정책보고서를 펴냈다.
생성형 AI 시장은 구조적으로 높은 진입장벽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공정위는 판단했다. 인프라·개발·구현 등 각 가치사슬에서 많은 자본과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되고, 시장을 선점한 사업자가 규모의 경제·범위의 경제까지 실현하면 후발주자가 진입하기가 어렵다는 판단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AI 반도체' 분야는 높은 수요 선호를 보이는 엔비디아를 필두로 인텔·AMD 등 해외 사업자, 사피온코리아·리벨리온·퓨리오사AI 등 국내 사업자가 시장에 참가한 상태였다.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도 아마존 웹서비스·마이크로소프트·구글 등 해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SP)가 네이버클라우드·KT클라우드·NHN클라우드 등 국내 CSP에 비해 상대적 우위를 보였다.
AI 기능 구연의 기초가 되는 '기반모델'도 필수 인프라를 이미 확보한 구글·메타·Open AI·마이크로소프트·엔비디아 등 빅테크 기업이 시장을 선점한 상태다. 네이버·카카오·LG·KT·NC소프트·업스테이지 등 국내사업자가 상대적으로 열세였다.
보고서는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현 국내 시장 환경은 경쟁·소비자 이익이 저해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상당한 지배력을 가진 사업자가 가격·물량 등 거래조건을 이용해 필수요소 접근을 제한하거나, 다른 상품과 묶어 팔기를 강요할 가능성도 제기했다.
공정위 이준헌 시장감시정책과장은 향후 제도 개선 검토에 대해선 "데이터 수집 등과 관련해 공정거래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일부 학계의 견해 등이 있지만 후속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기업결합 관련 내용도 심도 있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junjun@fnnews.com 최용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