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은 中 옥죄고 트럼프는 제재 엄포… 韓 반도체·디스플레이 반사이익?
2024.12.24 18:43
수정 : 2024.12.24 18:43기사원문
하지만 미국의 통상압박이 한국을 비롯한 우방국까지 전방위적으로 확대될 것에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美, 中 레거시 들여다본다…韓 수혜받나
24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무역법 301조에 따라 자동차나 가전제품 등에 사용되는 중국산 레거시 반도체를 대상으로 불공정 무역행위 조사에 착수하면서 국내 반도체 기업들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번 조사를 시작으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대중 제재 강화에 따라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온다. 특히 레거시 공정에서 중국 기업의 저가 물량공세에 고전하던 국내 기업들에는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중국산 제품에 고율 관세가 부과되면 이전보다 더 공정한 무역환경이 조성돼 한국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올라갈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레거시 제품에도 고관세가 부과되면, 국내 레거시 제품들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진만 삼성전자 파운드리 신임 사업부장은 취임 후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2나노 선단 제품은 물론 성숙공정에서의 사업 확대도 강조하면서 삼성전자의 레거시 파운드리 제품의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실제 USTR 조사를 통해 중국 기업들이 미국 상거래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근거가 나오면, 미국 정부는 보복 관세를 부과하거나 수입을 제한하고 대통령과 의회에 추가 조치를 권고할 수 있다. 트럼프 2기에도 이 같은 기조는 이어질 예정이라 중국 기업들의 부담도 커질 것으로 관측된다.
빠르게 쫓아오는 중국 기업과 격차를 벌릴 시간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며 낸드플래시와 D램에서 한국 기업들과 중국 기업이 거의 대등해져 골든 크로스를 목전에 두고 있었다"면서 "이후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반도체 통제를 강화하면서 격차가 벌어졌고, 트럼프 2기 정부에서 대중 제재 수위가 높아지면서 추격을 따돌릴 시간을 벌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中 빠지고 韓 점유율 확대되나…디스플레이도 촉각
K첨단산업의 또 다른 축인 디스플레이 업계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중국의 저가 공세에 액정표시장치(LCD) 시장에서 밀린 것에 이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에서도 위협을 받고 있어 중국 기업을 향한 제재에 관심이 모인다.
앞서 지난 9월 미 하원이 중국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에 대한 제재를 촉구하는 서한을 미 국방부에 보내는 등 디스플레이로도 대중 제재가 심화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최근 미국 하원 중국공산당 특별위원회는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삼성디스플레이 특허를 침해한 중국 최대 디스플레이 기업 BOE 제품이 미국에 들어오는 걸 금지해 달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수입금지 명령이 현실화될 경우 미국 기업인 애플의 디스플레이 패널 벤더(공급사) 선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에서는 현재 BOE가 출하하는 애플향 OLED 패널을 연간 약 3000만대로 추정한다. 애플이 공급사에서 BOE를 배제할 시 국내 기업인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의 점유율이 더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soup@fnnews.com 임수빈 김준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