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할 수 없는' 마스크, 정말 중국으로 다 갔을까?
2020.02.26 13:50
수정 : 2020.02.26 22:19기사원문
코로나19 사태 확산으로 매일 파악되는 전국 보건용 마스크 생산량은 26일 현재 평일기준 1300만장에 육박한다. 이달 12일 이후 꾸준히 1100만장 이상을 찍었으며, 코로나19가 국내에 본격 확산된 지난달 말부터 이에 근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생산 추정수치로 단순 계산하면 사태 이후 생산한 마스크 수량은 3억장을 웃돈다.
하지만 시민들은 마스크를 쉽게 구할 수 없다. 그나마 유통망이 다각화된 대도시는 나은 편, 중소도시 및 농·어촌에선 품귀현상 이후 마스크를 구경도 못해봤다는 불평까지 나온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온라인으로 구매를 시도하지만 오프라인에 비해 훨씬 비싼 가격이 문턱이다. 그나마 주문을 해도 물량부족을 이유로 주문 취소가 속출한다.
일각에선 마스크 대부분이 중국으로 흘러나가 한국에서 사기 어려운 게 아니냐는 소문도 흘러나온다. 한국무역통계진흥원 수출입 통계에선 중국으로 나가는 섬유 기타항목 수출 액수가 사태 이전인 지난해 12월 60만 달러에서 올 1월 6135만 달러, 이달은 20일까지 1억1845만 달러를 기록했다.
해당 통계가 섬유 부문 기타항목에 들어간다는 점을 고려해도 폭증한 증가치 대부분을 마스크로 추정할 수 있다. 이를 현재 거래되는 단가로 환산하면 대략 8000만장이 넘는 마스크가 중국으로 나간 것으로 보인다.
결코 적지 않은 수치지만 이것이 국내 품귀현상의 절대 요인일 수는 없다. 한국에 남은 마스크 물량이 이를 훨씬 웃돌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시민들은 마스크를 구하기 어렵다. 가장 큰 이유는 폭증한 수요다. 5000만 국민이 하루 1장의 마스크만 구입하려 해도 5000만장이 필요하다. 사태 이후 생산된 마스크 총량을 전 국민에게 나눠줬다고 가정해도 많이 잡아야 1인당 7장 정도다.
이런 상황에서 개별 소비자가 한 번에 수십 개씩 마스크를 사려 하니 품귀현상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대구·경북으로 확산되며 수요가 폭증해서, 1000만장씩 생산한다고 해도 수급이 원활할 수 없다”며 “사재기나 이런 부분도 충분히 있을 수 있어서 조치를 강하게 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두 번째 이유는 이미 유통업자에게 팔린 물량이 시중에 풀리지 않고 있는 문제다. 식약처 등 정부기관이 고시를 제정해 단속에 나서고 있지만 문제가 되는 물량을 충분히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매점매석 기준 위반으로 적발된 물량도 식약처 기준 1000만장 정도에 불과하다.
사태 초반 한 번에 수백에서 수천만장씩 거래된 것으로 알려진 매점매석 물량이 국내 어딘가에서 잠자고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이와 관련해 정부의 수출제한 조치가 효과를 볼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정부는 26일 0시부터 유통업자의 수출을 금지하고, 생산업자는 생산량의 10%만 수출할 수 있도록 제한했다. 이에 따라 마스크를 매점매석한 유통업자가 중국 등 외국에서 차익을 볼 수 있는 길이 차단돼 물량이 시중에 풀릴 것이란 예측이 나오는 것이다.
최근 며칠 간 수백만장씩 매점매석 사례가 적발되고 있음에도 ‘빙산의 일각’이란 관측이 나오는 상황에서, 해당 물량이 유통되면 품귀현상은 한층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pen@fnnews.com 김성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