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3개월 만에 정찰위성 발사 '실패' "3단계 비행 중 오류 발생"(종합)

      2023.08.24 08:29   수정 : 2023.08.24 08:49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북한이 지난 5월 말에 이어 85일 만에 '2차 군사정찰위성'을 쏘았으나 실패했다. 우리 군은 그 구체적인 원인 분석에 들어갔다.

합동참모본부는 24일 "북한은 오늘 오전 3시 50분경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북 주장 우주발사체'를 남쪽 방향으로 발사했다"며 "우리 군은 우주발사체 발사 징후를 사전에 식별해 대비태세를 갖추고 발사 시 즉각 포착해 지속 추적·감시했으나, 실패로 평가한다"고 전했다.



앞서 북한은 24일 0시부터 31일 0시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일본 정부에 통보했다.

지난 5월 31일 1차 발사 때 북한의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은 발사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전북 군산 어청도 서쪽 200여㎞ 해상에 추락했으나, 이번에는 이어도 서쪽 공해 상공을 통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북한의 발사 시간대 기상청의 위성 및 레이더 영상을 보면 한반도 대부분 지역에 구름이 끼고 중·남부에는 비가 내렸지만, 위성을 쏜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이 있는 평안북도 일대만 구름과 비가 모두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선전매체 조선중앙통신도 오전 6시 15분 '제2차 군사정찰위성 발사 시 사고발생'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신형위성운반로케트 천리마-1형의 1계단(단계)과 2계단은 모두 정상비행했으나 3계단 비행 중 비상폭발 체계에 오류가 발생해 실패했다"며 다만 "해당 사고 원인이 계단별 발동기(엔진)들의 믿음성과 체계상 큰 문제는 아니다. 오는 10월 제3차 정찰위성 발사를 단행할 것"이라고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을 인용해 보도했다.

1차 발사 때도 북한은 발사 후 약 2시간30분 만에 "천리마 1형은 정상 비행하던 중 1계단 분리 후 2계단 발동기(엔진)의 시동 비정상으로 추진력을 상실하면서 서해에 추락했다"며 실패를 인정한 바 있다.

일본 당국도 북한 우주발사체의 낙하물이 모두 예고 구역 밖에 떨어졌다고 밝혔다. 북한이 사전에 예고한 위성 발사체 잔해물 낙하 예상 지점은 한중잠정조치수역에 포함된 북한 남서 측 서해상 2곳과 필리핀 동쪽 태평양 해상 1곳이었다.

북한은 지난 6월 16∼18일 김정은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8차 전원회의에서 정찰위성 발사 실패를 '가장 엄중한 결함'으로 꼽고, 이른 시일 내 성공적으로 재발사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북한은 이후 발사 실패의 원인으로 꼽힌 로켓 엔진 결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험을 집중적으로 실시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국가정보원도 지난 17일 국회 정보위원회에 "북한이 7월부터 발사체 신뢰도 검증을 위해 엔진 연소시험을 집중적으로 실시하고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북한의 이날 위성 발사는 다음 달 9일 북한 정권 수립 75주년을 앞두고 축제 분위기를 띄우겠다는 의도와 동시에 현재 21~31일 일정으로 진행 중인 올 후반기 한미연합연습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를 겨냥한 반발 성격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관련 전문가들은 대체로 북한이 이번 발사에 성공한다 해도 군사정찰위성으로서 효용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관측했다.

군 당국은 지난 5월 서해에 추락한 위성체 '만리경 1호'의 발사체 잔해물을 30여일간의 탐색·인양작전을 통해 다수 건져내 미국과 공동조사한 결과 매우 조악한 수준으로 정찰위성으로써 군사적 효용성이 전혀 없다고 평가한 바 있다.

탄도미사일과 위성 발사용 로켓도 기본적으로 같은 기술을 사용한다. 따라서 북한의 위성 발사는 '탄도미사일 및 그 기술을 이용한 모든 비행체 발사를 금지'한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에 해당한다.

합참은 '유엔 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고 규탄하고 "우리 군은 확고한 연합방위태세 하에 진행 중인 UFS 연습과 훈련을 강도 높게 지속 시행하면서 북한의 다양한 활동에 대해서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어떤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초로 확고한 대비태세를 유지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