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길 넓히고 하늘길 물길 여는 김포시...2024년 UAM 본격 궤도 올린다

      2024.02.23 08:37   수정 : 2024.02.23 08:37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김포=노진균 기자】 경기 김포시가 2024년 UAM(도심교통)사업을 본 궤도에 올린다. 특히 민간 주도로 이루어질 UAM 상용화에 초점을 맞추어 대응할 계획이다.

23일 김포시에 따르면 도심항공교통(UAM)은 eVTOL(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전기동력 수직 이착륙)을 핵심기술로, 인구와 고층 건물이 집중돼 있는 지역의 교통 체증과 환경오염을 해결할 첨단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이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교통문제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기체, 버티포트, 정보·통신망, 관제, MRO(항공기정비) 등 관련 시장의 무한한 성장가치 측면에서 전 세계가 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정부는 ‘23년 1단계 고흥 개활지에서의 비도심 실증사업을 시작으로, 올 하반기 2단계 수도권 실증사업을 앞두고 있다.
또 올해 실증결과 및 제도완비 등을 통해 ‘25년 상용화를 위한 내실을 다진다는 계획이다.

'민간 주도의 상용화' 전략적 대응
UAM이 기존 여객기 산업과 상이한 부분은 민간 주도로 운영될 것이라는 점이다. 2024년 4월 시행을 앞두고 있는 도심항공교통 활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도 운항사업, 교통관리사업, 버티포트 운영사업 등 모두 민간 중심으로 이루어질 전망이다.

시는 이러한 UAM 상용화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민간기업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군(軍), KTL 등 유관기관과 협조체계를 구축해 다각적 협력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UAM과 유사한 헬기산업 플랫폼이 이미 조성되어 있는 김포 항공일반 산업단지를 활용해 초기 UAM 조립, 시험비행 플랫폼 유치에 집중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해 10월 항공일반산업단지의 조립·시험비행장 조성 여건을 장애물, 관제공역 등 항목별로 분석하고, 적합 결과를 통해 민간기업 유치를 협의중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첨단산업단지인 김포 환경재생혁신단지와 모빌리티특화도시인 콤팩트시티로 확대 연계하여 UAM을 운영하고 관리할 민간 사업자 유치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또 공역 및 항로분석 용역을 완료해 버티포트와 운항 노선을 제시하고 국토교통부 시범운용사업 참여를 준비하며 UAM 상용화에 앞장선다는 방침이다.

기초 지자체 최초 조례 제정, UAM 선도위한 적극적 행보
김포시는 미래 성장동력으로 일찌감치 UAM을 주목하며 시장 선점에 힘써왔다. 정부의 K-UAM 로드맵에 발맞춰 '2022년 8월 김포시 자체 로드맵을 수립하고 같은해 9월에는 기초 지자체로는 최초로 관련 조례를 제정하면서 UAM 체계를 구축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또 이듬해에는 에는 국토교통부 상용화사업 참여기관인 한국공항공사와 도심항공모빌리티 도시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공역 및 항로분석 용역에 착수하며 UAM 현실화에 한걸음 더 다가갔다.

항로·인프라 이미 갖춘 김포 ‘로우 리스크 하이 리턴’, 기업에 최적
UAM 상용화 초기 수도권 도심내 최대 50km 주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수도권 내 운항이나 정비 거점은 필수 요소가 될 전망이다.

여객기에 비해 낮은 고도를 운항하는 UAM 특성상 유동인구나 지형물이 없고 상공에 장애물이 없는 한강과 경인아라뱃길은 UAM의 최대 과제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맞춤형 항로로 꼽힌다. 실제 2022년 11월 국토교통부에서는 UAM의 시민 수용성 제고를 위해 김포 아라마리나에서 비행 시연행사를 개최한 바 있다.


또한 항공일반산업단지는 현재 헬기 비행이 가능한 지역으로 진출입로, 격납고, 교육훈련시설 등 UAM과 유사한 헬기산업 플랫폼이 이미 조성돼 있다. UAM 초기 불확실성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신규 인프라 확충을 위한 시간, 비용 절감이 가능하단 측면에서 활용가치가 높다.


김병수 시장은 "시민 교통편익을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켜 시민이 자부심을 느끼는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올 한해 모든 행정역량을 집중하겠다"고 전했다.



njk6246@fnnews.com 노진균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