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통일을 '흡수통일'로 규정하는 사람이 많다. 이것은 잘못된 것이고 동독 주민에 대한 모욕이다. 통일의 주체를 서독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바이체커 통일 당시 대통령을 비롯한 독일 엘리트들은 통일의 주체를 동독 시민으로 보고 있다. 동독 주민들의 대규모 탈출을 '발에 의한 결정'으로 표현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탈출자들은 희망이 없는 동독 정권을 버리고 자유와 풍요의 땅 서독으로 떠났다. 반면 상당수의 주민은 '우리는 이곳에 머물겠다'라고 외치면서 거리로 나가 개혁을 요구했다. 이 대규모 시위가 바로 '월요데모'다. 이것은 시민들이 독재정권에 자발적으로 저항한 자유혁명이었으며 피 한 방울 흘리지 않은 평화혁명이었다. 독일 역사상 최초의 성공적인 시민혁명이었다. 월요데모는 어떻게 시작됐고 평화혁명은 어떻게 가능했을까.
월요데모는 라이프치히 니콜라이 교회에서 시작됐다. 이 교회 퓌러 목사에 따르면 월요데모의 기원은 1981년에 시작한 '평화를 위한 10일 기도회'였다. 이것이 1982년부터 '평화기도회'라는 이름으로 월요일마다 열렸다. 당시 유럽에서는 소련의 SS-20 중거리 핵미사일 배치와 이에 대응해 나토가 미국의 퍼싱Ⅱ 미사일을 배치하기로 결정한 데 대해 평화운동 단체들이 시위를 벌이고 있었다. 이 때문에 니콜라이 교회의 평화기도회에 참석하는 사람들도 100명 이상으로 불어났다. 기도회 참석자들은 교회 밖으로 나가 1시간여 동안 침묵시위를 벌였다. 동독 정권으로서도 '반핵 평화 시위'를 저지할 이유가 없었다. 그 후로 기도회와 시위는 계속됐고 1989년 5월 대규모 탈출사태와 부정선거를 계기로 정권에 대한 저항 운동으로 발전하게 됐다.
1989년 5월 7일 실시된 지방선거의 부정이 드러나자 조직적인 항의시위가 벌어졌다. 5월 8일 니콜라이 교회에는 2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부정선거에 격분한 저항인사들이 동독 전역에서 100여 차례의 시위를 갖고 민주화를 요구했다. 150여개 단체들이 교회의 보호 아래 규합해 동독 정권에 대항했다. 이렇게 조직화된 월요데모는 10월 들어 동독 정권을 무너뜨리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 10월 7일 동독 정권 출범 40주년 기념일에는 라이프치히, 드레스덴, 베를린 등 도처에서 시위가 벌어졌다. 동독 경찰과 보위부원들은 시위대원들을 곤봉으로 때리고 체포하는 등 그 어느 시위 때보다 강력하게 진압했다. 그러나 라이프치히 월요데모는 10월 9일 7만명이 참가해 동독 역사상 최대 규모였으며 10월 16일 12만명, 10월 30일 30만명, 11월 6일 50만명으로 규모가 늘어만 갔다. 11월 4일 동베를린 알렉산더 광장 시위에는 무려 100만명이 참가했다. 여행의 자유와 민주화를 외치던 초기 구호도 종교와 언론의 자유, 자유선거와 장벽 철거 등으로 강도를 높여갔다. 강력한 시민혁명의 물결 속에 10월 18일 호네커 동독 공산당 서기장이 19년 만에 자리에서 물러났다. 마침내 11월 9일 '철의 장막'이라 불리던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다.
대규모 시민혁명이 어떻게 평화적으로 진행될 수 있었을까. 첫째, 주도 단체들과 참가자들 모두 '비폭력' 원칙을 지켰기 때문이다. 퓌러 목사는 시위자들에게 '경찰에게 절대로 폭력을 사용하지 말라'고 당부했다고 한다. 또한 촛불 시위자들이 모두 촛불을 두 손으로 들어야 했기 때문에 손에 몽둥이나 돌을 들 수 없었다고 한다. 둘째, 시위자들의 숫자가 수만명에 이르자 경찰이 무력을 사용할 엄두를 내지 못했다. 가장 중요한 이유는 고르바초프가 소련군의 시위 개입과 무력 사용에 반대했기 때문이다. 호네커 서기장은 무력진압을 요청했지만 고르바초프는 반대했다.
'우리는 국민이다'라는 구호가 월요데모에 등장했다. 독재정권의 핍박을 당하던 동독 시민들이 '우리가 주인이다'라고 외치고 나온 것이었다. 세계대전과 유대인 학살, 베를린 봉기 등 끔찍한 폭력으로 점철된 독일 땅에서 동독 시민들이 무혈 혁명으로 독재정권을 무너뜨리고 평화 통일을 이룩한 역사가 부럽다.
양창석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감사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