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에 대한 담론의 지평을 바꿔 업계가 보다 긍정적인 논리를 적극적으로 펼쳐야 한다."
진중권 동양대 교수는 23일 서울 삼성동 한국인터넷기업협회에서 열린 '굿인터넷클럽 50' 세미나에서 한국사회의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관련, "과거 오락으로 여겨졌던 영화가 오늘날 예술의 한 장르로 인정받듯이 게임도 오락과 스포츠 면모를 갖춘 새로운 장르로 여겨질 것"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진 교수는 게임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높아지는 현실에 대해 반박하며 게임이 새로운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진 교수는 "게임에 대한 불신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뉴미디어는 보수적 사람들에겐 위험한 것으로 느껴졌다"며 "한때는 만화, TV에 대한 보수적 반감이 오늘날 게임으로 옮겨졌을 뿐으로 게임은 21세기 문화 전체의 패러다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21세기에는 컴퓨터 게임이 시각문화를 주도할 것"이라며 "19세기에는 그림이, 20세기에는 사진과 영화였지만 21세기에는 상상한 것과 생생한 모습을 함께 담은 컴퓨터그래픽(CG)이 주류가 되면서 게임을 좋아하게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게임업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지속되고 있는 것과 관련, "아직 우리 사회의 의식이 낙후돼있다"며 "지금은 국어, 영어, 수학보다 상상력 경쟁시대로 놀 줄 알아야 생산적인 사람이 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진 교수 외에도 게임 산업에 대한 한국 사회의 부정적 인식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연이어 터져나왔다.
정상권 블루클라우드 본부장은 한국 사회 부모들의 교육 방법을 지적했다.
정 본부장은 "서양의 경우 부모들이 아이들과 놀이하는 문화가 많지만 우리는 아이들에게 공부만 하라고 한다"며 "공부하는 시간에 아이들이 게임을 하면 방해가 된다고 생각한다. 같이 놀아줘야 한다는 생각보다 아이를 통제하겠다는 생각에 게임을 부정적으로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내 게임업계는 고립무원에 빠져서 살아보겠다고 아등바등하고 있다"며 "정부에서 업계를 흔들고 있지만 게임업계 매출이 자동차 수출보다 많은 상황에서 게임업계가 과연 지탄받을 사업인지 생각해달라"고 당부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