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사고·사망 5% 줄인다" 전사적 집중
【 울산=김서연 기자】 세월호 참사 등 최근 잇단 대형사고로 인해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산업 현장의 안전 역시 간과할 수 없다. 산업재해 예방이 주업무인 안전보건공단의 역할과 위상이 부각되고 있는 대목이다. 이를 위해 공단은 올해 근로자의 사고·사망재해를 전년 대비 5% 줄이는 것을 목표로 정하고, 사업 예산을 전년 대비 20% 증액했다. 인력도 보강했다.
이영순 공단 이사장은 "1400여명 임직원은 산업현장의 안전보건 확보를 통해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우리 경제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형사고 예방 대응체계 구축
올해 '근로자 사고·사망재해 전년 대비 5% 감소'를 경영목표로 삼은 공단은 5가지의 산재예방사업 방향을 정했다. 우선 대형사고 예방을 위한 대응체계를 구축한다.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촘촘한 감시체계를 만들고, 사전예방활동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 올해 '화학사고 사전 위험경보제'를 도입한다. 공정안전보고서(PSM) 제출 대상 사업장의 위험요인을 주기적으로 분석해 등급별로 차등 관리할 수 있게 된 셈이다. 공정안전보고서 비대상 사업장 중 화학사고 위험이 있는 사업장 2000개소는 공단에서 직접 기술지도를 실시하고, 1만개소는 민간 전문기관을 활용해 기술지원할 예정이다.
제조업과 건설업의 사고·사망재해 예방활동도 강화된다. 제조업은 지난해 9월부터 추가된 화학물질, 반도체·전자부품 제조업 등 3개 업종을 포함해 재해발생 위험이 높은 13개 업종의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가 한층 까다로워 진다. 건설업은 유해위험 방지계획서의 확인 주기를 단축해 건물의 고층화, 대형화 등 빠른 공정변화에 대응하기로 했다.
■취약계층 재해 예방활동 강화
산재 취약계층에 대한 사고·사망재해 예방활동도 한층 강화된다. 10억원 미만 건설현장에 대한 추락예방시설 설치 지원사업 예산을 지난해 70억원에서 100억원 증액된 170억원으로 늘리고, 근로자 수 10인 미만 사업장의 작업환경 측정과 특수건강검진 소요비용 예산도 70억원 확보했다.
기초생활수급 대상자나 장년근로자, 일용근로자 등 건설업과 서비스업 분야 취업희망자 등을 대상으로 기초안전보건교육 위탁교육비도 지원한다.
외국인, 장년, 예비산업인력 등 취약계층을 위한 순회방문교육을 확대하고, 대기업(800개소)과 협력업체(1만개소)의 공생 협력 프로그램 사업을 통해 대기업에서 자율적으로 협력업체의 안전보건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사업장의 자율적인 안전보건체계 구축을 위해 위험성 평가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이 사업은 사업장 스스로 안전보건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지난 2013년 도입됐다. 안전보건조치 의무가 있는 사업주 스스로 사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평가한 뒤 노사가 협력을 통해 재해를 예방한다.
■근로자 건강 증진 인프라 구축
근로자의 직업건강 증진을 위한 인프라 구축도 지원한다.
밀폐공간의 질식재해 예방을 위해 밀폐공간을 보유한 고위험 사업장을 대상으로 방문 기술지원, 사전출입허가제, 예방장비 대여, 안전교육 이수제 등 질식재해예방 종합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인프라 구축도 전개된다. 현재 15개소에 운영 중인 근로자 건강센터를 올해 20개소로 확대할 계획이다. 화학물질의 유해성 평가 등 산업 보건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올해 대전화학물질연구센터에 만성흡입독성시험시설을 증축한다.
올해부터 안전보건지원자 제도도 도입한다. 이 제도는 안전·보건관리자 선임의무가 없는 50인 미만 사업장의 사업주가 현장직원 중 한 명을 선임해 안전점검, 위험성평가 등의 임무를 수행토록 하는 것이다. 사회적 이슈나 연중 발생하는 재해다발 요인에 대응하기 위해 공단 지역본부 6개 교육센터에 실무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업종별, 직종별 안전보건 미디어를 개발해 보급하기로 했다.
공단은 근로자와 일반 국민 등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쉽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 안전보건네트워크도 구축할 계획이다.
안전보건공단 관계자는 "안전보건의식 선진화를 위해 제조, 건설, 서비스업종의 떨어짐, 넘어짐, 끼임 재해 등 3대 업종별 재해유형을 집중 홍보하고 범국민적 안전문화 확산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ssuccu@fnnews.com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