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올림픽대로·강변북로 등 진공청소차 운행 주 3~4회로 확대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1.28 14:04

수정 2015.01.28 14:04

서울시설공단은 올림픽대로와 강변북로 등 자동차전용도로 12개 노선( 173.5㎞)의 미세먼지 수치를 올해 국가 환경기준인 연 50㎍/㎥로 낮추겠다고 28일 밝혔다.

오는 2016년부터는 서울시 평균인 46.58㎍/㎥ 수준을 유지할 계획이다.

미세먼지는 입자크기가 10㎛ 이하인 먼지를 말한다. 중국의 오염물질 유입 등이 많은 겨울철과 봄철에 많이 발생하고 여름과 가을에는 대체적으로 낮은 농도를 보이고 있다. 2013년 서울 대기 질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중국발 오염물질 등 외부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달은 1월로, 평균 64㎍/㎥의 짙은 농도를 보인다.


지난해 강변북로의 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58.25㎍/㎥, 내부순환로는 50.83㎍/㎥로 국가 환경기준은 물론 서울 평균치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에 공단은 자동차전용도로에 주 2회 운행하던 진공청소차를 주 3∼4회 투입하기로 했다. 차량 운행이 많은 구간은 매일 운행한다.

또 대형 공사장과 가까운 올림픽대로 3곳과 강변북로 2곳, 동부간선도로 등 6곳에는 도로관리책임자를 지정해 토사 낙하 등에 대해 계도하도록 한다.

공단은 특히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가 큰 토사 수거 목표를 전년대비 30% 이상 확대하기로 했다.

공단 관계자는 "도로상의 재비산먼지와 배기가스 입자, 타이어 및 브레이크에 의한 마모입자 등은 미세먼지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2011년 서울시 미세먼지 배출량 1870톤 중 도로이동오염원에 의한 배출량은 856톤으로 전체 배출량의 45.8%를 차지했다.

공사장 주변에서 발생하는 먼지 저감을 위해 해빙기 이후 집중적으로 진출입 램프 물청소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공단은 덧붙였다.

win5858@fnnews.com 김성원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fnSurvey

동해 가스전 탐사, 여러분의 생각은?

동해 포항 앞바다 수심 2km 심해에 매장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140억 배럴의 석유·가스전을 찾는 탐사 프로젝트였던 '대왕 고래' 프로젝트가 첫 시추만에 실패했습니다. 총 7개의 유망구조 (석유나 가스가 나올 가능성이 높은 지층 구조) 중 6개의 유망구조가 남은 상황에 대한 후속 탐사를 이어가겠다는 정부의 입장에 대해 여러 가지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대왕 고래 프로젝트'와 동해 가스전의 추가 탐사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투표기간 : 2025-02-11 ~ 2025-02-25 투표하러 가기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