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기관 방문의 주요 목적은 정부 정책 방향, 즉 '성장'과 '개혁' 중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것이다.
성연주 연구원은 "사실 춘절을 앞둔 중국 경기는 좋지 않다"며 "특히 2~3선 도시 중소기업 자금난 및 사치품 근절에 따른 소비 부진은 지속되고 있고 정부의 '부정부패 척결'속에 상품권을 통한 명품 소비 근절로 백화점 등 유통업 경기는 지지부진하다"고 설명했다.
성 연구원은 시진핑 신정부의 강력한 통치 이념이 없는 상황(후진타오 '조화로운 사회[和.社.]')에서 정권 통제 및 경기 둔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고자 하는데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다. 즉 정부의 부정부패 척결이라는 명분하에 중앙집권화를 진행, 자본시장 개방 및 신도시화 등 경제 시스템 시장화를 도입하는데 있다.
다시 말해 중국 정부의 성장과 개혁 의미는 상충되는 것이 아닌, 일정 수준의 GDP성장률을 보장하는 전제하에 '개혁'을 진행하는 것. 이는 이번 방문 기관에서 공통적으로 2015년 중국 GDP성장률 약 7%~7.1%정도로 연착륙을 예상한 것을 보면 알수 있다고 이 연구원은 덧붙였다.
성 연구원은 "GDP성장률 7%대 달성을 위한 중국 정부의 중점 정책은 기업 융자비용을 낮추는 것"이라며 "기업 부채 및 자금조달 비용 부담을 줄여 수요를 점진적으로 회복해 금리/지준율 인하 및 직접 금융(주식/채권 시장) 정책을 강화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happyny777@fnnews.com 김은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