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젊은 가구주 가계는 지난해 팍팍한 살림살이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구의 소득증가율이 0%대로 떨어져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반면 50대는 7%대, 60세 이상은 4%대의 증가율을 각각 나타냈다.
4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가구주가 39세 이하인 2인 이상 가구의 지난해 월평균 소득은 433만9612원으로 전년보다 0.7%(2만9486원) 늘었다. 이런 증가율은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3년 이래 가장 낮은 것이다. 39세 이하 가구의 소득은 2013년에는 7.4% 늘었고, 글로벌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은 2009년에도 2.9% 증가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3%인 점을 고려하면 20∼30대 가구의 소득은 사실상 줄어든 것이다.
20∼30대 가구의 소득이 정체한 원인으로는 청년실업 증가와 고용의 질 악화가 꼽힌다. 작년에 취업자 수는 53만3000명이나 늘어 12년 만에 증가 폭이 가장 컸는데도 청년 실업률은 9.0%로 역대 최고치였다.
취업자 수 증가는 청년층보다는 장년층이 주도했다. 50대 취업자 수가 23만9000명, 60세 이상이 20만명 증가하는 동안 15∼29세 취업자는 7만7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30대 취업자는 2만1000명 감소했다.
취업을 한다 해도 비정규직과 생계형 창업 등 질 나쁜 일자리가 많아 생계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지난해 청년 취업자 19.5%는 1년 이하의 계약직으로 직장생활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진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국제금융연구실장은 "청년층 취업이 늦어진 데다 직장을 구하다 지쳐 하향 취업하는 이들이 늘어난 점도 20∼30대 가구의 소득 정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청년층이 계속해서 질이 낮은 일자리에 머물러 인적자본을 쌓지 못하면 장기적으로 국가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전.월세금 등 생활비는 계속 오르는데 소득은 늘지 않으니 빚이 쌓였다.
지난해 가구주가 30세 미만인 가구의 평균 부채는 1558만원으로 1년 전보다 11.2% 늘었다. 전 연령대 가운데 증가율이 가장 높다. 30대의 평균 부채는 5235만원으로 7% 증가했으나 40대와 50대는 각각 0.8%, 0.6% 줄었다. bada@fnnews.com 김승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