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자부, 1년반 지나서야 매뉴얼 만들겠다고 뒷북
지난 2013년 말 기능직에서 일반행정직으로 대거 전환한 공무원들에 대한 사후 교육체계가 미비해 업무에 혼선이 빚어지는 등 부작용이 심각한다는 지적이다.
28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기능직에서 행정직으로 전환한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1만5000명 공무원들에 대한 업무 교육 매뉴얼이 없어 대안 마련이 절실한 것으로 파악됐다.
■교육체계 미비, 업무 혼선
기능직은 1963년 전화교환.수리, 인쇄, 타자 등의 업무를 담당하기 위해 신설됐으며 행정환경 변화에 따라 직렬이나 계급체계 등이 조정됐다.
최근 들어서는 과거에 필요했던 기능적 업무영역이 축소.변경되고 사실상 일반직과 유사한 행정실무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기능직 직종이 폐지되고 일반직에 통합됐다.
문제는 통합후 이들 기능직 공무원들이 일반 행정업무에 투입되면서 행정업무에 필요한 교육과 업무분장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 대부분은 각 부서의 서무 부서에 배치됐지만 서무 업무에 필요한 예산과 결산, 회계, 보고서 작성 등 일반 행정업무에 필요한 교육을 습득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들 공무원은 어느 정도 경력과 연차가 오래된 중견급이 많아 주위에 대놓고 도움을 청할 수도 없어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는 후문이다.
정부가 이런 내용의 공무원 직종개편을 추진한 것은 인사관리의 효율성과 직종 간 칸막이 해소, 소수 직종 공무원의 사기 제고 등을 위한 것으로, 2011년부터 추진했다. 그러나 사후 관리 측면에서 이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마련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문제가 커지고 있다.
정작 공무원 교육을 담당하는 인사혁신처는 아직 이에 대한 매뉴얼조차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각 부처 내부적으로 불만은 높아지고 교육 습득에 대한 수요는 커지고 있는데도 이를 충족시킬 제도적 장치는 사실상 없다는 게 공무원들의 전언이다.
인사처는 신설부처로 그동안 공무원연금에 역량을 전력 투입하느라 신경쓸 여지가 없었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예전 인사 기능을 담당했던 행자부는 이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교육을 체계화하기 위한 제도적 마련에 본격 나섰다.
■행자부, 다양한 방법 고민
행자부 관계자는 "행정직으로 전환한 이들 기능직 공무원들의 역량을 제고하고 이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서무 업무에 특화된 교육을 체계화하는 제도를 추진하고 있다"면서 "멘토를 지정해 교육을 전담시키는 방안과 공무원연수원에서 교육을 시키는 방안 등 다양한 방법을 놓고 고심중"이라고 설명했다.
행자부는 또 조만간 교육매뉴얼도 마련한다는 입장이다. 이를 계기로 인사혁신처가 다른 부처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행자부는 각 자치단체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ktitk@fnnews.com 김태경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