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가상화 기술 빠진 韓 클라우드 산업...'속빈 강정' 될라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10.12 16:12

수정 2015.10.12 16:12

클라우드 산업의 핵심 '서버 가상화'…외산 독주 속 국내 원천기술 미흡
'클라우드 발전법'이 본격 시행된 가운데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인 서버 가상화에 대한 기술 국산화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을 키우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뿐 아니라 서버 가상화 기술 육성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서버 가상화 기술에 대한 육성 없이는 국산 클라우드 산업 자체가 속빈 강정으로 잔락할 수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국내 서버 가상화 업체 극소수…외산 주도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가 내달 초 '클라우드 컴퓨팅 기본계획' 을 발표할 계획인 가운데, 서버 가상화 등 핵심 기술 확보 방안이 함께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민간기업이나 공공기관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등 각종 정보기술(IT) 자원을 직접 구축하지 않고,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상의 공간을 통해 필요한 만큼의 IT자원을 쓰고 사용료를 내는 서비스다.
이때 서버 가상화를 통해 IT자원을 원하는 형태로 분리·통합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서버를 여러 대처럼 쓰거나 여러 대의 서버 기능을 한 대로 합치면서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기술로 꼽힌다.

지난달 28일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클라우드 발전법)'이 본격 시행되면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은 앞으로 국가정보화계획이나 예산 편성시, 우선적으로 클라우드 도입을 고려해야 한다.

이와 관련 국내 중소형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들은 공공 클라우드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는 기대감 속에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인수를 검토하는 등 체질 강화에 나선 상태다. 공공사업에서 쌓은 레퍼런스는 곧 민간 및 해외시장에서 강력한 마케팅 수단이기 때문에 더욱 공을 들이는 모습이다.

그러나 클라우드 서비스의 핵심 기반인 서버 가상화 영역은 사실상 외산 솔루션 업체들이 주도하고 있어, 국내 클라우드 산업 발전의 한계가 벌써부터 드러나고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일례로 민간 및 공공기관에서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할 때, VM웨어와 마이크로소프트(MS) 등의 서버 가상화 도입을 전제로 계약이 이뤄진다는 것이다.

한 소프트웨어 업체 관계자는 "서버 가상화 기술을 갖춘 국내 기업이 극소수에 불과하고, 그나마 가상화 솔루션을 전제로 만들어진 클라우드 서비스도 레퍼런스(구축 사례)가 적어 공공시장 진입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문제를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대규모 클라우드 사이트를 구축할 때, 윗단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국내 기업들이 쌓는다고 해도 핵심 기반은 모두 외산이기 때문에 향후 서버 가상화 유지 보수에 어마어마한 비용을 치르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오픈스택 등 오픈소스 활용해 기술 격차 좁혀야
업계 전문가들은 오픈소스 활용을 통해 외산 소프트웨어 종속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최근 새롭게 떠오른 클라우드 컴퓨팅 오픈 소스 프로젝트인 '오픈스택' 등을 활용해 글로벌 업체와의 기술 격차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미래부 산하기관의 한 관계자는 "레드햇이나 IBM등이 참여하고 있는 오픈스택이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기술이전 등을 활용하면 서버 가상화 등 뒤쳐진 기술을 따라 잡을 수 있다"며 "윈도 등 컴퓨터 운영체제(OS)처럼 절대적 강자가 있는 분야가 아니기 때문에 민간의 노력과 정부의 지원으로 원천 기술 확보와 시장 경쟁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