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드스퀘어 안준희대표를 만나다
신사역 가까운 언덕을 올라 '매드스퀘어' 간판을 찾아 헤맸다. 아무리 찾아도 간판이 안보여 대표에게 전화를 걸었다. 서있던 곳 바로 옆 언뜻 카페같이 보이는 공간 안에서 손을 흔드는 안준희 대표(34)와 만날 수 있었다. 캐롤이 울려 퍼지는 공간에서 스무 명이 채 안 되는 직원들이 자유롭게 앉아 각자의 업무를 자유롭게 수행하고 있었다.

■ 스타트업이라는 삶의 방식을 택하다
매드스퀘어는 동영상 유통 플랫폼 사업을 하는 회사다.
안 대표가 끊임없이 도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안 대표는 “스타트업이 이 시대에 필요한 이유는 단순한 경제적 성공보다 기존의 문화나 산업구조를 변화시킨다는 상징적인 가치가 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매드스퀘어도 그런 꿈을 가진 스타트업 중 하나다.
안 대표는 “사업을 둘러싼 모든 이해관계자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을 만들고 싶었다”며 사업을 둘러싸고 있는 모두가 윈-윈 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 희망을 전하는 스타트업을 꿈꾸다
이 시대의 청년들에게 스타트업을 추천하냐는 질문에 그는 “답은 없다고 생각한다”며 “스타트업도 하나의 직업이고 하나의 옵션이다”라고 답했다. 그러나 안 대표는 주체적으로 사고하고, 하루를 능동적으로 살아갈 수 있다는 점에서 스타트업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스타트업 대표들만의 특징은 무엇일까. 안 대표는 “스타트업 대표들은 문제라고 생각하면 일단 회사 차린다. 모여서 해결해보려고. 문제를 풀 수 있다는 의지가 워낙 강하기 때문에 답이 없는 상황에서 일단 시작한다.” 대부분의 문제는 들어와서 두발을 담갔을 때만 답이 보인다며 안대표가 덧붙였다.
이어 안 대표가 보는 한국 스타트업의 현실은 들어봤다. 안 대표는 대한민국에 스타트업 붐이 불었지만 스타트업의 본질적인 문화는 들어오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안 대표는 “실패를 용인하는 문화가 아직은 부족하다”며 단순히 창업을 장려하는 것보다 도전할 수 있는 문화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안 대표는 “희망은 말로 하는게 아니라 삶으로 증명하는 것”이라며 어려운 처지의 젊은이들을 막연히 위로하기보다 매드스퀘어가 나아가는 모습을 통해 희망을 직접 보여주는 일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매드스퀘어가 올해 초 선보인 ‘토스큐’ 베타판을 ‘스낵’으로 새 단장해 8월3일 정식으로 선보였다. 스낵은 안드로이드 앱과 웹 버전으로 먼저 출시됐으며, iOS 앱도 곧 공개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