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코코본드 시장 싸늘.. 은행 자본확충 난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1.28 17:52

수정 2016.01.28 17:52

코코본드 금리 크게 상승.. 발행 조건도 까다로워져
올 5조5000억원 필요 불구 투자심리 위축에 발행 눈치
코코본드 시장 싸늘.. 은행 자본확충 난감

올해 5조원이 넘는 조건부자본증권를 발행해야 하는 국내 은행들이 연초부터 고민에 빠졌다. 시장에서 코코본드로 불리우는 조건부자본증권의 금리가 지난해보다 크게 오른데다, 발행 조건이 까다로워져 투자심리마저 위축되고 있는 탓이다. 은행들이 올해 코코본드 발행을 두고 눈치만 보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은행권의 자본성증권은 2조4000억원에 달한다. 바젤III 추가도입에 따라 바젤II에서 발행된 자본성증권은 만기시 코코본드를 통해 조달되어야 한다.


코코본드는 편입되는 자본 성격에 따라 신종자본증권(Tier1)과 후순위채(Tier2)로 구분된다.

여기에 바젤II에서 발행된 자본성증권에 대한 자본인정 비율을 올해부터 매년 10%씩 상각토록 하면서, 상각 부분에 대한 자본확충 수요가 불가피하다. 신한.우리.KB국민.KEB하나 등 시중은행과 지방은행들이 바젤III 도입 이전에 발행한 자본성증권은 31조원 가량이다. 10% 상각처리를 감안할 때 이 부문에서만 3조1000억원의 자본성증권 발행이 필요하다.

결국 올해 은행들이 기본적으로 발행해야하는 코코본드 규모는 만기액 2조4000억원과 10% 상각분 3조1000억원을 합친 5조5000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올들어 코코본드 발행에 대한 여건이 악화되면서 은행들의 자본확중 부담을 가중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올해부터 코코본드 중 신종자본증권의 이자지급 재원이 '배당가능 이익'에서 '당기순이익'으로 변경되면서, 은행들은 투자자들을 모으기 위해 작년보다 높은 금리를 제시해야하는 처지에 놓였다. 이자지급재원이 당기순이익으로 바뀌면 적자 가능성 등으로 리스크가 그만큼 높아지게 된다.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시장금리 상승도 발행금리 상승의 한가지 요인이다. 금리인상이 예고되는 상황에서 리스크를 떠안아야하는 상품에 대한 투자심리 위축이 코코본드 발행의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국내를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서 코코본드의 발행규모가 감소하는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실제 지난해 9월 말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발행된 코코본드 규모는 768억달러로, 전년 동기간 발행규모(1370억달러)보다 위축된 모습을 보였다.

때문에 업계에선 올해 투자자들을 끌어모으기 위해 코코본드 발행 금리가 작년보다 50bp(bp=0.01%포인트) 가량 높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해 국내 은행들의 30년만기 신종자본증권 발행금리는 3%대 후반에서 4%대 초반으로, 10년만기 후순위채는 2%대 후반에서 3%대 초반으로 형성됐다.

주혜원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코코본드가 상대적으로 고금리를 제공해 투자 매력이 높은 상품이지만, 상품 설계의 복잡성과 내재 위험 등을 고려했을때 투자 리스크가 상당하다는 시각도 있다"면서 "특히 글로벌 주요 자산운용사들이 신흥국 코코본드에 대해 경계감을 표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코코본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도 투자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


시중은행 자금부 한 관계자는 "투자자들이 바젤III 도입에 익숙치 않은데다, 신종자본성증권의 구조를 이해하기도 어려워 투자자를 설득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코코본드는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는 안전적인 투자처라는 조언도 이어졌다.


SK투자증권 백경윤 연구원은 "현재 국고채 금리는 역대 최저 수준이고 10년물 금리는 사상 처음 1%대에 진입한 상황에서 코코본드는 매력적인 투자대상"이라며 "은행은 강력한 정부규제 속에 자본건전성을 지속적으로 높여가고 있기 때문에 은행 리스크가 부각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longss@fnnews.com 성초롱 이세경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