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개발밀도가 서울시 평균에도 못 미치는 역세권 지역에 일본 롯본기힐즈, 홍콩 유니언스퀘어 같은 고밀도 개발을 허용하는 대신 민간사업자의 청년임대주택 공급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역세권 2030 청년주택' 대량공급 방안'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제2·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묶여 있는 역세권 용도지역은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고 서비스 시설이 충분해 수요가 많다. 시는 이들 지역을 3년간 한시적으로 준주거지역, 상업지역까지 상향해 용적률을 높여주고 심의·허가 절차를 간소화해 민간사업자의 참여를 이끌어낸다는 구상이다. 또, 법률적 규제완화와 취득세·재산세 감면 등 재정지원도 병행한다.
민간사업자는 이같이 규제완화와 용도지역 변경 혜택을 받는 대신 주거면적의 100%를 임대주택 용도로 공급하게 된다. 전체 임대주택 중 10~25%를 '소형 공공임대주택'(전용 45㎡ 이하)으로 확보해 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에게 주변 시세의 60~80%로 제공한다.
사업 대상지는 철도(도시철도, 경전철)가 2개 이상 교차하거나 버스전용차로 또는 30m 이상 도로에 위치한 역세권에서 250m(승강장 기준) 이내인 대중교통중심지다. 세부 요건에 따라 준주거지역 또는 상업지역까지 용도지역 변경도 가능해 용적률 상승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제3종일반주거지역(250%)에서 상업지역으로 변경될 경우 기본용적률 680%를 적용받아 430%의 용적률 상승 효과가 있다.
시는 빠르면 내년 상반기부터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는 7월부터 충정로역, 봉화산역 역세권 지역에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3종 주거지역인 충정로역의 경우 준주거지역으로 변경시 340가구 규모 임대주택이 건립될 예정이다.
이번 계획에 따라 사업 추진 가능한 역세권의 30%만 개발해도 공공임대주택 4만가구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간 분양 거래 위주였던 역세권 주택 공급이 청년들에게 돌아가면, 청년들이 교통 편리한 역세권에 안정적인 주거공간을 마련하는 동시에 지역문화를 주도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 할 것으로 서울시는 기대하고 있다. 또 가파른 집값 상승세에 따른 청년세대의 서울 이탈도 다소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 박원순 시장은 "청년은 우리 세대를 지탱하는 기반이자 우리가 지켜야할 희망인 만큼 청년 주거문제 해결은 우리사회가 당면한 최우선적 과제"라며 "사상 최악의 청년 실업률과 경제적 빈곤 속에서 고시원 같은 임시 거주지를 전전하며 도심 속 난민으로 떠돌고 있는 이 시대의 청년들이 안정된 주거공간에서 살 수 있도록 역세권 2030청년주택 사업을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lionking@fnnews.com 박지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