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국내 고농도 미세먼지, 최대 80% 중국이 원인

정지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5.19 15:42

수정 2016.05.19 16:17

질산염과 황산염 등 중국 석탄원료 공장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중국에서 불어오는 미세먼지가 우리나라 미세먼지 농도 비중의 최대 80%까지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쉽게 말해 국내에 미세먼지 고농도 주의보가 내려질 때 원인의 최대 80%가 중국 때문이라는 것이다.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은 미세먼지 발생 원인규명과 저감을 위해 설립된 ‘한·중 공동연구단’의 두 번째 전문가 워크숍을 오는 20일 서울 김포공항 롯데시티호텔에서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최근 중국 대기질 현황 및 향후 연구계획을 발표한다고 19일 밝혔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국내 미세먼지 농도의 국외영향(기여율)은 일반적으로 평상시 30~50% 수준이지만 심할 때는 60~80%까지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과학원 관계자는 “100%라고 할 수 없지만 국외에서 불어오는 미세먼지 대부분은 중국”이라며 “연평균 20여일 미세먼지 고농도 주의보가 내려질 때 80%까지 국내에 영향을 미친다”라고 설명했다.

중국에서 생성되는 미세먼지는 경유차보다 베이징의 공장이 배경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과학원 설명이다.
중국은 2013년부터 석탄을 원료로 하는 공장의 수를 줄이는 정책을 펴고 있지만 아직까지 상당수 남아있다는 것이다.

과학원은 “베이징에 스모그가 발생하면 초미세먼지(PM2.5)뿐 아니라 미세먼지(PM10) 농도도 증가한다”면서 “이는 스모그 발생 때 질산염과 황산염의 비중이 증가하는데 특히 황산염 비중의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질산염과 황산염은 석탄을 원료로 할 때 주로 발생한다.

중국 미세먼지는 질산염과 황산염 비중이 전체 질량의 64% 수준이다. 이 정도면 석탄 등 화석원료가 원인으로 봐야 한다는 의미다.

반면 우리나라 미세먼지는 질산염과 황산염 비중이 40~45%수준인데 이럴 경우 통상적으로 자동차 등에서 그 배경을 찾고 있다.

과학원은 이에 따라 중국 석탄원료 공장에 미세먼지 저감 장치를 달아주는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현재 산동성 1곳에서 산서, 섬서까지 지역을 확대하고 분야도 철강에서 화력·소각발전까지 늘린다. 모두 7개 프로젝트에서 452억원 규모의 계약을 상반기 안에 매듭짓는다.

중국 경유자동차에 배출가스 저감장치(DPF)를 달아주는 사업도 진행한다.
우선 중국 하북성 중형 경유트럭 8대를 시작으로 차츰 확대할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2004년이후 60만대 이상의 경유차에 DPF를 부착하는 등 세계 최고수준의 실적, 경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한·중 공동연구라는 취지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 중국 채취 초미세먼지(PM2.5) 시료에 대한 한국측 분석 결과를 공유하며 중국 환경과학원에 설치되어 있는 ‘스모그 챔버(Smog Chamber)’를 이용해 베이징의 스모그 발생원인도 추적할 계획이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