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청와대

대구공항 이전후보지 영천·군위·의성·칠곡·예천

조창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7.12 17:30

수정 2016.07.12 22:14

靑 "최대한 빨리 결정" 대구서 1시간 이내 선정
공군기지 함께 이전돼 유치 지역에 혜택 부여
대구공항 이전후보지 영천·군위·의성·칠곡·예천

군과 민간이 함께 사용하는 대구공항 통합이전을 위한 새 공항 부지 선정이 1∼2개월 내에 확정될 전망이다.

아울러 신공항 건설자금은 기존 공항 부지 건설을 통해 마련한 자금으로 충당하는 '기부 대 양여' 방식 원칙에 입각해 진행될 계획이다.

강석훈 청와대 경제수석은 12일 기자들을 만나 대구 신공항 새 부지를 1~2개월 내 선정하는 방안에 대해 "1~2개월 내에는 확신할 수 없지만 빨리 선정하려고는 한다"고 말했다.

■공항 새부지 선정 일사천리

대구공항 이전은 군 공항에 해당하는 K2 기지를 유치하는 곳에 대구시가 필요한 모든 시설을 지어주고 기존 K2 기지 터를 개발한 이익금으로 이전 비용을 충당하는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다시 말해 기존 부지를 매각해 남는 수익금으로 신공항 건설자금을 충당하지 못해 자금 부족이 생길 경우 정부가 별도 보전해주는 방식은 일단 제외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신공항 건설자금 마련방식과 관련해 "군공항이전특별법에 의거해서 진행될 것"이라며 "법률 그대로 간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대구공항 통합이전 과정에서 적용되는 방식이) 다른 군공항 이전에도 적용될 부분이기 때문에 그 법 정신에 충실해서 기부대양여 방식으로 추진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박근혜 대통령이 전날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면서 통합이전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신속히 추진할 것을 주문하면서 국방부와 국토교통부 등 유관 부처로 구성된 TF는 입지조건 등을 두루 분석해 새 공항이 들어설 곳을 선정할 전망이다.

통합 신공항이 들어설 후보지는 대구.경북 지역주민의 편의를 최대한 감안해 대구로부터 자동차로 가급적 30분 이내, 최대 1시간 이내 위치에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기준에 따라 경북 영천, 군위, 의성, 칠곡, 예천 등이 유력 후보지로 거론된다.

지자체별로 공항 유치에 적극 나서는 곳들도 있어 유치전도 달아오를 전망이다. 경북 군위와 의성 등 일부 지역은 실제로 공항 유치를 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가 낙후된 도심 개발을 위해 추진해온 대구공항 통합이전 사업은 최근 영남권 신공항 부지선정 프로젝트가 부상하면서 밀양 신공항 유치로 선회해 보류된 바 있다. 그러나 신공항 유치가 실패하면서 지역 민심이 악화된 가운데 전날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박 대통령의 전격 지시로 기존의 대구공항 통합이전 방안이 속도를 내고 있다.

■대구시, 공항추진단 체제 가동

대구시가 청와대의 군사.민간공항 통합이전 사업 발표와 관련,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협조 및 지원을 요청했다.

이와 별도로 부이사관(3급)급을 단장으로 하는 TF '공항추진단'도 운영키로 했다.

우선 시는 통합이전이 조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이른 시일 내에 국무조정실 주관의 TF를 구성, 관계부처 간 협의를 진행할 것을 요청했다.

또 통합이전 부지는 급증하는 항공수요 대처, 항공이용 편의 증진, 대구는 물론 경북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대구 인근지역으로 추진해 줄 것을 요청했다.

특히 시는 통합이전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행정절차의 조기이행 및 정부예산 반영(재정투입 계획), 실행 로드맵 등이 올해 안에 구체적으로 나올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 협조 및 지원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이와 별도로 시는 군사.민간공항 통합이전은 물론 영남권 신공항 용역결과 검증 및 대구공항 활성화를 위해 과 단위로 분산돼 있는 관련조직을 통합하고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기 위해 국(局) 단위인 '공항추진단'으로 확대, 하반기 인사에 맞춰 오는 25일께부터 운영키로 했다.

공항추진단은 기획조정실 내에 신설되며 공항활성화과와 K2이전추진과 2개 과다.
인력구성은 단장 1명을 비롯해 과장 2명, 직원 16명, 시간선택 2명 등 총 21명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대구시의 한 간부는 "군사.민간공항 통합이전은 항공이용 편의 증진 및 대구는 물론 경북 지역경제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대구 인근지역에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와 협의할 것"이라며 "재정투입 계획, 실행 로드맵 등이 올해 안에 구체적으로 나올 수 있도록 정부 등을 압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통합이전이 추진되는 대구 군사공항 부지는 공군군수사령부와 제11전투비행단(K2) 등 617만8225㎡ 규모이며 대구국제공항 부지는 여객청사와 주기장, 계류장, 주차장, 호텔 등을 포함해 총 17만㎡ 규모다.

jjack3@fnnews.com 조창원 김장욱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