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션2 코스피 3000시대를 위한 파생상품시장의 역할
'파생상품시장이 갈 길' 패널토론
상품 구조 다변화 통해 파생상품 시장 질 높여야
ELS 불완전판매 해소위해 판매관행 개선·상품 장내화
'파생상품시장이 갈 길' 패널토론
상품 구조 다변화 통해 파생상품 시장 질 높여야
ELS 불완전판매 해소위해 판매관행 개선·상품 장내화

전문가들은 파생상품시장 발전을 위한 필수조건으로 다양한 기초자산과 일관성 있는 규제를 꼽았다. 시장 활성화는 물론 개인투자자 보호, 두 가지를 동시에 개선하는 것이 관건이라는 지적이다.
파이낸셜뉴스 주최로 24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4회 서울국제파생상품컨퍼런스'에서 전문가들은 패널토론을 통해 국내 파생상품시장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활성화할 방법을 찾기 위해 함께 고민했다.
■장내파생상품의 질을 높여라
전문가들은 장내파생상품시장의 경우 질적인 측면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투자자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상품 종류만 늘릴 것이 아니라 구조적 면에서도 다양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윤선중 동국대 교수는 "한국거래소의 파생상품은 코스피200지수 선물.옵션 이외에 성공한 상품이 전무한 상황"이라며 "코스피200 변동성지수(V-KOSPI200) 상품이 헤지 측면에서 장점이 큰데도 거래가 부족한 것은 제도적 측면에서 참여자에게 주는 혜택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장내파생상품의 대체.연계상품으로 상장지수펀드(ETF)와 상장지수증권(ETN) 시장 활성화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윤 교수는 "상품구조를 다변화할 수 있는 시장이 형성된다면 파생상품시장의 질적 측면에서 전환을 이끌어낼 수 있다"며 "장외 구조화상품의 좋은 점을 장내로 흡수하고, 새로운 상품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파생상품시장에 대한 규제에 일관성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차기현 NH투자증권 IC운용본부장은 "개인투자자 보호를 명목으로 진입장벽을 높이다보니 해외주식 선물.옵션, 불법 대여계좌로의 이탈수요도 관측되고 있다"며 "새로운 규제가 계속 생겨나더라도 연관성·일관성 있는 규제가 필요하고, 그 규제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 충분히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업계와 학계의 의견을 충분히 수용, 시장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김태훈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과 사무관은 "시장 활성화는 물론 레버리지 측면을 고려한 투자자 보호장치도 합리적인 보완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거래량 증가와 투자자 보호를 병행해서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 많이 고민할 것이고, 업계와 학계의 우려를 적극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ELS 규제가 시장 위축해선 안 돼
지난해 상반기 중위험.중수익 상품으로 인기를 끌다가 8월 홍콩시장 급락으로 손실 우려가 불거진 주가연계증권(ELS)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된 특정 지수 쏠림현상과 불완전판매 해소방안이 토론의 쟁점 사안이 됐다.
토론 참여자들은 ELS시장이 위험한 것은 잔액기준 100조원에 이르는 발행 규모보다 대부분의 상품이 일부 기초자산에 쏠린 유사한 구조로 발행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차 본부장은 "파생상품 기초자산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면 운용자, 투자자 양쪽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면서 "시장에서 자율적으로 막으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투자자의 수요가 강하다 보니 생각보다 여파가 컸다"고 말했다.
기초자산이 되는 지수가 현 시점에서 큰 폭으로 하락해 투자자가 손실을 보게 되면 불완전판매 위험이 제기된다. 주가가 상승하더라도 헤지 과정에서 증권사들이 본 손실이 문제가 될 수 있다.
김 사무관은 "저금리 상황에서 투자처를 찾기 어려운 사람들이 ELS에 투자하고 은행 창구 등 많은 점포에서 팔려나가고 있다"면서 "충분한 설명이 됐는지를 따져 판매관행을 고칠 부분을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이에 대한 규제가 시장 위축으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불완전판매를 줄이기 위해 ELS 등 파생상품을 장내화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윤 교수는 "규제를 통해 ELS 시장을 급격하게 줄이는 것보다는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감독해야 한다"면서 "복잡한 장외파생상품은 장내로 이전하는 것이 불완전판매를 줄이고, 시스템리스크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손실을 감내할 수 있는 대형사 위주로 시장이 자연스레 재편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차 본부장은 "ELS 상품을 운용하다보면 손실이 날 수도 있지만 이를 똑같은 기준으로 규제한다면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며 "판매 라이선스를 대형사에만 제공하고, 손실을 감내할 수 있는 대형사 위주로 재편하는 논의도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특별취재팀 임광복 차장(팀장) 강재웅 차장 김영권 김현희 박소현(이상 증권부) 이세경 박세인(이상 금융부) 안태호(산업부) 김규태(사회부) 기자 박범준 서동일 김범석 차장(이상 사진부)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