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자협회와 대한영상의학회는 지난 7월부터 2개월간 국내 대학병원 3곳과 1개 중소병원을 찾은 환자 100명(20대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영상의학과에 대한 국민 인식도를 공동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조사 결과를 보면 일반적으로 방사선 노출이 가장 많은 진단장비는 CT지만 응답자의 45%(45명)는 MRI라고 답변했다. 또 '의료용 방사선이 위험하다'거나 '위험하지만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이 각각 6%, 55%에 달했다.
이처럼 환자들이 진단장비를 불안해하는 것은 의료진의 사전 설명이 부족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이번 조사에서도 의료용 방사선 피폭의 안전성에 대해 57%가 '설명을 들은 적이 없다'고 답변했다.
환자들은 영상검사를 받는 과정에서의 불편함도 호소했다. 가장 불편한 점으로는 '긴 대기시간'(39명)이 꼽혔으며, '검사 뒤 결과 설명이 없다'(18명), '검사방법에 대한 설명이 없다'(12명), '검사를 왜 하는지 설명이 없다'(11명) 등을 꼽은 환자도 많았다.
영상의학과의 중복 및 과잉검사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검사를 한두 번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한 사람이 45%로 절반 가까이나 됐다.
또 중복 검사를 받을 때 '중복 검사를 왜 받아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못 받았다'(37%)거나 '받았더라도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 힘들다'(30%)는 답변이 67%에 달했다. '충분한 설명을 들었고 이해한다'고 답변한 응답자는 8%에 불과했다.
한국과학기자협회와 대한영상의학회는 23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공동으로 포럼을 열어 이런 내용을 포함한 '영상검사 대국민 인식개선'에 대해 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과학기자협회 이진한 기자(동아일보)가 조사결과를 공개하고, 대한영상의학회 최준일(서울성모병원 영상의학과 전문의) 보험간사가 '국내 초음파 검사 질관리'를 주제로 해외 사례와 국내 사례를 비교해 발표할 예정이다.
또 영상의학회에서 정승은(카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품질관리이사, 양달모(강동경희대학교병원) 보험이사, 과학기자협회에서 민태원 기자(국민일보), 박광식 기자(KBS), 정명진 기자(파이낸셜뉴스), 이지현 기자(한국경제)가 패널로 참석해 토론할 예정이다.
김길원 한국과학기자협회장 직무대행은 "올해로 진단방사선과에서 영상의학과로 이름을 바꾼 지 10년이 됐지만 국민 인식도는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병원 영상검사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더 나은 대안을 찾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승협 대한영상의학회장(서울대병원)은 "앞으로 영상의학과에 대해 국민이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대국민 홍보활동을 더 열심히 할 계획"이라며 "각 병원에서도 영상검사 시에 친절한 설명과 안전한 검사를 시행하도록 의료진에 대한 교육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의학전문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