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환경

오대산과 태백산, 열목어 구애행위 촬영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5.07 13:22

수정 2017.05.07 13:22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난달부터 진행한 오대산과 태백산 어류 모니터링 중 산란을 위해 상류로 이동 중인 열목어의 구애행동을 촬영했다고 7일 밝혔다.

공원관리공단에 따르면 열목어는 연어목 연어과 어류로 냉수성 대형 담수어종에 속한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시베리아, 연해주, 압록강, 두만강 등 동북아지역에 분포하며 국내에선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의 일부지역에만 제한적으로 서식한다.

열목어는 용존산소가 풍부하고 한여름에도 수온이 20도를 넘지 않는 계곡의 최상류 지역을 선호하고 산란을 위해 4~5월에 계곡의 상류로 이동한 후 암·수가 짝을 이루고 모래와 자갈이 많은 곳에 알을 낳는다.

주로 수온이 낮은 계곡의 상류에 서식하며 겨울에는 하류의 깊은 소(沼)가 있는 곳으로 이동한 뒤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래로 상유에 머무리는 개체도 있다.


오대산국립공원의 을수골계곡은 국내 최대 열목어 서식지로 2015년 특별보호구역에 지정됐다. 태백산국립공원의 백천계곡 역시 국립공원 내에서도 산림이 잘 발달된 지역으로 열목어가 서식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잘 유지하고 있다.

환경부는 도로신설, 산지개발, 산림 골재채취 등의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개체수가 줄어들자, 2012년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했다.

최종관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원보전처장은 “열목어 서식지 보호를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호활동을 펼칠 계획”이라며 “멸종위기종 보호를 위해 다 같이 동참해 달라”고 말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fnSurvey

동해 가스전 탐사, 여러분의 생각은?

동해 포항 앞바다 수심 2km 심해에 매장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140억 배럴의 석유·가스전을 찾는 탐사 프로젝트였던 '대왕 고래' 프로젝트가 첫 시추만에 실패했습니다. 총 7개의 유망구조 (석유나 가스가 나올 가능성이 높은 지층 구조) 중 6개의 유망구조가 남은 상황에 대한 후속 탐사를 이어가겠다는 정부의 입장에 대해 여러 가지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대왕 고래 프로젝트'와 동해 가스전의 추가 탐사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투표기간 : 2025-02-11 ~ 2025-02-25 투표하러 가기

헉스